사회

knn

본격 동절기 전열기 화재 주의

기사입력
2023-12-02 오후 8:29
최종수정
2023-12-02 오후 8:29
조회수
41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추워진 날씨에 전기장판이나 전기난로 같은 전열기 사용이 부쩍 늘면서 화재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부산,경남에서 발생한 전열기 화재만 180여건이 넘는데요 전열기 사용시 주의점을 이민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아파트 창문 밖으로 시꺼먼 연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2주전 경남 거제시의 한 아파트에서 난 불로 집 안에 있던 70대 1명이 숨지고, 40대 이웃도 다쳤습니다. 불은 전기장판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최근 3년 동안 부산*경남에서 발생한 전기히터나 전기장판 등 전열기 화재는 188건, 사망자도 5명이나 됩니다. 난방방법이 전기장판뿐인 쪽방촌을 가봤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곳의 복도는 사람 한 명이 겨우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좁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칫 화재라도 나면 대피가 어려워, 더 위험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닫힌 문을 열어보니, 빈 방에도 장판이 켜져있습니다. 콘센트당 하나만 사용해야되는 전열기를 문어발식으로 꽂은 경우도 눈에 띕니다. {인김대일/쪽방 거주자/"불이 최고 겁나는 거잖아요, 솔직한 말로 한순간이니까. 나갈때 끄라고 항상 이야기도 하고 앞에 또 문구도 붙여놨습니다."} 전기장판을 다시 꺼내 사용하려할 때만약 접어서 보관했다면 화재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 열이 방출되지 않는 라텍스 등과 함께 사용하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 {류상일/동의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전기장판은) 껐다 켰다 해주시는 게 과열을 막을 수 있습니다. (전기 난로는) 이불 같은 곳에 불이 옮겨 붙을 수 있거든요. 너무 가깝게 사용 안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한편 부산 일원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어젯밤(1) 경남 양산의 한 아파트에서도 불이 나 2명이 다치고 20여 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