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g1

흉물된 태백산 민박촌 "이러지도, 저러지도"

기사입력
2021-04-12 오후 6:23
최종수정
2021-04-12 오후 6:23
조회수
81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태백산은 2016년 국립공원으로 승격됐습니다.
당시 재산권 침해를 우려해 반발하던 주민들과 정부가 7가지 협의사항에 합의했는데요,
대표적인게 낡고 쓸모없어진 민박촌을 정부가 매입하라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5년째 아무 진척이 없습니다.
박성준 기자입니다.

[리포터]
태백시는 1997년 태백산 초입에 73실 규모로 콘도형 숙박시설인 민박촌을 건립했습니다.

국비 등 42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하지만 일대에 숙박업소가 늘고, 시설이 낡아지면서 애물단지가 됐습니다.

태백시는 2016년 태백산을 국립공원으로 승격하는 과정에서 정부 매입을 제안했고,

지역 여론을 수용하는 차원에서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도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인터뷰]
"민박촌하고 석탄박물관은 그때 당시에 국립공원공단에서 매입 또는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달라는 게 7대 협약사항 중에 하나였는데."

하지만 기획재정부가 제동을 걸었습니다.

국비가 지원된 시설을 국비로 재매입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이유였습니다.

일반 자산은 매각이나 양여가 불가능하다는 걸 협의 당시 챙기지 못한 탓이 컸습니다.

[인터뷰]
"태백산 민박촌 매입을 위해서 정부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노력을 해왔으나 현재까지 이행이 되지 못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역 사회와 함께 고민해서."

태백시는 국립공원공단에 연간 1억 6천만원을 받고 민박촌 시설을 임대하고 있는데,

연간 적자가 1억 3천만 원이 넘습니다.

무엇보다 정부 매입을 통해 시설 재투자와 관광활성화를 노렸던 계획이 무산됐다는 게 가장 뼈아픕니다.

[인터뷰]
"(국립공원) 공단 측과 시의회가 계속 행정력 소모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지 말고 빨리 종지부를 찍었으면 하는 게 우리 시민 사회단체의 생각입니다."

태백시는 물론 국립공원공단 역시 태백산 관광 활성화를 위해선 민박촌 매각이 절실하다고 보고, 정부의 대승적인 결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G1 뉴스 박성준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