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tjb

[리포트]백신 맞으면 마스크 벗어도 되나요?

기사입력
2021-03-14 오후 9:05
최종수정
2021-03-14 오후 9:05
조회수
91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관련 이미지 1
【 앵커멘트 】 최근 미국 보건당국이 백신 접종자들끼리 마스크를 쓰지 않고 만나도 된다는 지침을 내놓으면서 이와 관련된 궁금증이 커지고 있는데요. 하지만 백신을 맞았다고 100% 항체가 형성되는 게 아닌데다, 항체가 있어도 감염 전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서 집단면역이 형성 될 때까지는, 마스크 착용을 절대 게을리 해선 안된다고 합니다. 이중선 객원의학전문기자가 알려드립니다. 【 기자 】 최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백신 접종자와 관련한 새 방역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을 모두 마친 사람들끼리 만날 때는 마스크를 쓰거나, 사회적 거리두기 없이 만날 수 있다는 게 핵심입니다. 하지만 전체 인구의 10%가 접종을 마친 미국과 달리 접종 초기 단계인 국내에선 마스크 착용을 결코 소홀히 해선 안됩니다. 이론적으로 접종자가 마스크를 안 써도 되려면 더이상 코로나19에 감염되거나 타인에게 전파할 위험이 없다는 게 증명되야 합니다. 하지만 전세계에 보급된 코로나19 백신의 예방효과는 70~90% 사이로 100% 예방효과가 입증된 백신은 없는 상탭니다. 접종으로 항체가 형성됐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단위면적당 항체 양인 '항체가'가 떨어지는 등 면역이 얼마나 지속되는 지도 불투명합니다. ▶ 인터뷰 : 신형식 / 을지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 "고위험군한테 병을 옮기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집단면역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마스크를 좀 더 착용하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 항체가 있더라도 감염될 수 있다는 점도 마스크를 벗을 수 없는 이윱니다. 항체는 바이러스의 자가복제를 막아 감염을 억제하지만, 바이러스의 체내 침투 자체를 막지는 못하기 때문에 개인 면역력에 따라 항체가 있더라도 무증상, 경증 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인터뷰 : 신형식 / 을지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 "우리가 면역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호흡기 바이러스가 점막 세포에 감염되는 그런 무증상 감염은 상당히 있다고 보고가 돼 왔습니다 " 최근 국내에서 급증하고 있는 남아공 등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백신 효과가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는 점도 중요 변수입니다. ▶ 스탠딩 : 이중선 / 객원의학전문기자/전문의 - "결론적으로 전 국민의 70% 이상이 접종을 마쳐 집단면역이 형성되기 전까지는 마스크 착용을 포함한 기본적인 방역 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TJB 닥터리포트 이중선입니다. " TJB 대전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