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tjb

임상 3상 승인 건수 13배 증가…신약개발 골든타임 올까

기사입력
2025-07-04 오전 09:42
최종수정
2025-07-04 오전 09:42
조회수
3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신약 출시 전 마지막 단계로 여겨지는 임상 3상의 승인 건수가 올해 상반기 약 13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4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올해 1∼6월 승인된 임상 3상은 76건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6건이 승인된 데 비해 약 13배 급증했습니다.

2023년 동기에는 단 3건 승인됐습니다.

개발 지역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 국내 개발 건은 18건으로 전체 약 24%를 차지했습니다.

작년 이 기간 국내 개발로 승인된 임상 3상은 1건이었습니다.

2023년에는 국내 개발 승인이 전무했습니다.

임상 3상은 신약 허가를 위한 마지막 관문으로,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의약품의 유효성과 안전성 등을 최종 검토하는 단계입니다.

임상 1상, 2상 등과 비교하면 성공률이 높아 임상 3상 승인 증가는 신약 개발에 있어 고무적인 현상으로 평가됩니다.

올해도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주력 제품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3상을 승인받았습니다.

HK이노엔[195940]은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IN-B00009'의 임상 3상 시험 계획을 승인받았습니다.

IN-B00009는 HK이노엔이 지난해 중국 바이오 기업 사이윈드 바이오사이언스에서 도입한 물질입니다.

셀트리온[068270]은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CT-P51' 임상 3상을 진행합니다.

키트루다는 세계적 제약사 MSD가 개발한 블록버스터 의약품입니다.

다만 임상 3상 승인이 의약품 상용화를 담보하지는 않습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임상 2상을 거쳐 3상에 착수하더라도 신약 허가 신청으로 이어지는 비율은 60%가 되지 않습니다.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험인 만큼 앞선 임상 단계에서 확인되지 않은 변수가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아서입니다.

아울러 임상이 늘면 참여자가 약물 이상 반응 등으로 입원하거나 사망하는 사례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환자 안전을 담보할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있습니다.


TJB 대전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