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맞아 전북자치도의 주요 현안을
살펴보는 순섭니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새만금 기본계획을
다시 짜고 있습니다.
밀려드는 기업 투자 수요에 맞춰
산업단지를 크게 늘리는 게 핵심입니다.
하지만 군산과 김제, 부안이
산업단지 확보 경쟁에 나서면서 또 다른
갈등 요인이 될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정원익 기자입니다.
새만금 사업 추진을 위한
최상위 법정 계획인 새만금 기본계획.
정부는 지난해부터
달라진 국내외 여건에 대응하겠다며
이 계획을 다시 세우고 있습니다.
(CG IN)
기본 방향은
이차전지 등 첨단전략산업 허브,
식품산업 거점 조성을 위한 글로벌 푸드
허브, 관광과 마이스산업 허브 등
3대 허브와 지역의 동반 성장을 위한
메가시티 경제권 실현입니다.
(CG OUT)
이를 위해서는 산업용지를 대폭
늘리는 게 핵심 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CG IN)
국토연구원 분석 결과 오는 2050년까지
필요한 산업용지는 44제곱킬로미터.
하지만 현재
단기간에 개발이 가능한 면적은
최대 15제곱 킬로미터에 불과하고
2030년이면 모두 소진될 전망입니다.
(CG OUT)
새만금개발청은
도시용지와 함께 농생명용지를 중심으로
산업용지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김준성/새만금개발청 계획총괄과장 :
농생명 용지는 경작 재배 단지 위주로 계획되어 있습니다. 고부가가치와 산업화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농림부와도 이 방안을 찾기 위해서 적극 협의해 갈 계획입니다.]
문제는 군산과 김제, 부안이
산업단지를 조금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는 겁니다.
(CG IN)
군산시는 농생명용지 3공구와
새만금 산업단지 서남쪽인 1권역,
부안군은 농생명용지 7공구, 김제시는
수상태양광 2단계 사업 취소를 통한
산업용지 개발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CG OUT)
관할권에 이어 또 다른 갈등으로 번질
우려가 큰 셈입니다.
[김미정/전북자치도 새만금해양수산국장 :
환경 변화에 대한 고려를 통해서 적정한
산업용지 확대의 구역이 좀 도출이 된 걸로 알고 있고요. 그런 부분들은 새만금청
그리고 도, 해당 시군이 지혜롭게 협의를 통해서.]
정부는 올해 말까지 새만금 기본계획
재수립을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가뜩이나 개발이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세 시군의 갈등이 또 다른 걸림돌이
돼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JTV뉴스 정원익입니다. (JTV 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