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전국 공항에 대한 안전점검이 진행중입니다.
경남 사천공항 역시, 시설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피해를 키운 로컬라이저 시설 역시 콘크리트 턱 위에 설치된 것으로 보여 개선이 필요해보입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천공항에 설치된 로컬라이저 시설입니다.
무안공항처럼 둔덕 형태는 아니지만 50cm 높이 콘크리트 턱 위에 설치된 것으로 보입니다.
{항공전문가/"동체착륙으로 미끄러져가면 동체가 파손될 확률이 있고 그 다음에 랜딩기어가 있어도 랜딩기어가 저기에 걸릴 것 아닙니까. 평평하게 돼있으면 되지. 저렇게 안튀어 나오고."}
하지만 한국공항공사는 아직 어떤 재질인지 조사 중이라는 입장입니다.
여기에 사천공항 활주로는 2.7km 정도로 무안공항보다도 60m 정도 짧습니다.
{박원태/청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지금까지는 B/C(경제성) 때문에 그렇게 돼있는데 비상상황이 됐을때 문제가 있는 것들은 빨리 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 가능하면 좀 길게 하는게 필요합니다."}
여기에 오버런에 대비한 안전구역 길이 역시 문제입니다.
사천공항 활주로 끝에 안전구역은 각각 122m와 177m로 무안의 199m보다 오히려 더 짧습니다.
여기다 활주로가 철새도래지인 사천만 바로 옆에 있어 버드스트라이크 위험도 여전합니다.
여객기는 물론이고 공군 훈련기도 뜨고 내리다보니, 폭음탄을 쏴 새들을 쫓아내기 바쁩니다.
"버드스트라이크 발생률로 따졌을 때는 사천공항이 무안공항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6년동안 버드스트라이크 발생률은 무안이 0.09%, 사천은 0.079%였습니다.
특히 사천공항은 우주항공청 개청으로 국제공항 승격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안전 점검과 시설 개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