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공공기관 투기 의혹에 허탈한 농민들

기사입력
2021-03-12 오후 8:38
최종수정
2021-03-12 오후 8:47
조회수
136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공공기관 투기 의혹에 허탈한 농민들
{앵커:

투기 의혹이 일고 있는 대저동 일대 농지 대부분은 외지인들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일찌감치 농지를 팔거나 땅을 빌려 계속 농사를 짓는 농민들은
투기 논란을 바라보며 마음이 착잡합니다.

대저동 일대 농민들을 박명선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개발 계획이 발표된 부산 대저동 연구개발특구 일대!

농지였던 땅 곳곳에는 얇은 묘목들이 줄지어 심겨졌습니다.

이 일대에는 수년 전부터 개발 소문이 돌았습니다.

그때부터 땅값이 들썩였고 나무 심기도 반복됐습니다.

주민들은 개발보상비를 노리고 묘목을 심었을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박봉하/농민/부산 대저동/"농사를 안지으면서 방치한 곳도 제법 있는것 같더라구요.
우리들이 보기로는 황당하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

투기목적으로 토지를 사들이는 외지인들이 늘면서 농사 지을 땅은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땅을 빌려 농사를 짓기도 어렵습니다.

{백남규/농민/"외지분들의 소유권이 전체의 80%를 넘어가니까 임차계약서를 작성하기도 힘들고
그러다보니 경영체 등록이 안되다 보니 어려움이 많습니다."}

평생 농사를 지어 온 농민들은 땀흘리던 농지가 투기의 대상이 된 것이 못마땅합니다.

그나마 짓던 농사도 개발과 함께 그만두어야 합니다.

농민들은 더이상 갈 곳이 없습니다.

{안병훈/농민/부산 대저동/"이때까지 고향을 지키면서 농사를 짓고 잇는데
(외지인들이 많이 들어와서) 터전마저 잃어버리게 되면 저희들이 갈 곳이 없습니다."}

주민들은 연구개발특구 부지가 2016년 말, 강동동에서 대저동으로
바뀌기 이전부터 이미 투기가 시작된 것으로 의심합니다.

투기 의혹이 남지 않도록 부산시와 정부의 철저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