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부인과 검진, 언제 어떻게 받을까?
[앵커]
부인과 검진, 주기적으로 받고 계신가요? 검사가 중요하다는 건 알지만 언제,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할지 헷갈리곤 하는데요. 오늘 건강365에서 정리해드립니다.
[리포터]
평생 동안 생리와 출산, 완경을 겪는 여성들!
시기별로 건강에 많은 변화를 겪습니다.
================================
산부인과 검진이 중요하다는 건 알지만 언제 어떤 검사가 필요한 걸까요?
================================
[의사]
(김혜경 센텀코어의원 산부인과 원장 / 대한산부인과학회*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 정회원 )
만 20세부터 1~2년마다 산부인과를 계속 다니시기를 권유드립니다.
20세 전에는 증상이 있으면 조금 더 일찍 산부인과를 내원하셔야 합니다.
만 15세까지 초경이 없다든지 월경과다, 생리통, 부정출혈, 잦은 아랫배 통증이 있을 경우에는 20세 전에도 산부인과를 내원하시는 게 좋습니다.
================================
검진 항목은 연령별로 달라집니다.
별다른 증상이나 임신 계획이 없더라도 자궁 건강을 위해선 주기적인 검진 계획을 세우는 게 좋습니다.
================================
[의사]
네 1~2년마다 산부인과 정기검진을 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성관계 전에는 부인과 초음파만 보시면 되고 성관계 이후에는 자궁경부암 검사와 부인과 초음파를 같이 보셔야 합니다.
내원하셨을 때 산부인과 전문의가 필요하면 냉 검사나 자궁 내막 조직 검사를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
생리가 끊기면 자궁 질환에서 해방되는 걸까요? 대표적인 오해입니다.
사실은 노화에 따른 암 발생률이 높아지는 만큼 긴장감을 늦출 수 없습니다.
================================
완경 이후에도 산부인과 검진을 주기적으로 꼭 받으셔야 됩니다.
왜냐하면 부인과 암은 폐경이 되면 더 많이 생기고 악성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특히 난소암이라든지 자궁내막암은 폐경된 이후에 오히려 빈도가 많고 혹이 있을 경우에 실제로 조직 검사를 봤을 때 악성으로 나올 확률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정기검진이 중요합니다.
================================
산부인과를 임신과 관계된 곳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제 없겠죠.
특히 요즘에는 젊은 층에서도 자궁 질환이 많이 생겨서 산부인과를 가깝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