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knn

[건강365]-최악의 암 췌장암, 누가 위험할까?

기사입력
2021-10-05 오전 08:51
최종수정
2021-10-05 오전 09:25
조회수
89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건강365]-최악의 암 췌장암, 누가 위험할까?
[앵커]
의료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췌장암은 갈 길이 멉니다. 예후가 나쁘기로 악명 높은데요. 위험군이라면 몇 가지 검사를 미리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화면 함께 하시죠.

[리포트]
췌장암은 왜 최악의 암일까요?

일단 5년 생존율부터 낮습니다.

다른 암과 비교해보면 차이가 확연하죠.

배와 등에 느껴지는 통증.

황달과 체중 감소가 생기지만 대부분 초기 증상이 없어서 진단이 늦어집니다.

[출연자]
(이진욱 좋은강안병원 소화기내과 과장 / 고신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고신대학교복음병원 간내과 조교수 )

{췌장암은 조기 진단이 매우 힘든 암입니다.

그 이유는 췌장암 위치와도 관련이 있는데요.

췌장은 위장의 뒤, 그리고 척추 앞.

즉 복부의 가장 깊숙한 곳에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힘들고 그렇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리포트]
췌장암이 운 좋게 1기 상태에서 발견되면 생존율이 50%까지 오릅니다.

나에게 췌장암 위험 요인이 있는지 살펴서 검진을 더 적극적으로,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출연자]
{췌장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췌장암의 가장 위험한 인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10년 이상의 만성적인 흡연자.

세 번째로는 중년 이후에 발견된 제2형 당뇨.

그리고 네 번째로 급*만성췌장염인 분들이 췌장암의 위험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리포트]
이런 위험인자를 갖고 있다면 어떤 검사가 필요할까요?

1년에 한 번은 검사를 받는 게 좋은데, 복부 CT는 다른 부위보다 피폭량이 많아서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출연자]
(이진욱 / 좋은강안병원 소화기내과 과장 )

{췌장암 위험 인자가 있는 분들은 일단 복부 CT와 관련된 종양표지자검사, 아밀라아제와 리파아제 등의 췌장효소수치검사를 먼저 해보셔야 됩니다.

복부 MRI나 유전자 검사 등은 그 다음에 고려해볼 만한 사항입니다. }

[리포트]
건강보조식품이 대사 기능에 부담을 줘서 췌장 건강을 해친다는 속설이 있는데요.

근거가 없어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비타민 같은 영양제는 안심하고 드셔도 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