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cjb

현금성 지원 한계... 미취업 청년 맞춤형 대책 필요

기사입력
2021-02-01 오후 11:30
최종수정
2021-02-01 오후 11:30
조회수
110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현금성 지원 한계... 미취업 청년 맞춤형 대책 필요
청년 일자리 만큼 절실한 과제도 없다보니 충청북도는 무려 40여개에 달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청년 인구 유출을 막는데는 역부족인 상황인데요, 좀더 보완할 과제가 무엇인지 짚어봤습니다. 구준회 기잡니다. 충청북도는 2017년부터 전국 최초로 성장촉진지역 청년근로자 장기근속 장려금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보은, 옥천, 영동, 괴산, 단양 지역 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근로자에게 월30만원씩 2년간 지원하는 제돕니다// 올해까지 연인원 420명이 20억원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미혼 근로자가 납입액의 세배가량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충북행복결혼공제제도 역시 2018년 전국 최초로 도입해 올해까지 모두 천4백여명이 수혜를 입게됩니다. 이처럼 도가 시행중인 청년일자리 관련사업은 40여개로 연간 4백억원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안병운 충청북도 청년일자리팀장 '청년들에게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나아가서 자립기반을 마련해주고 더 나아가서는 충북을 떠나지 않고 안착할 수 있게 끔' 하지만 안타깝게도 당초 목표한 효과를 거두기에는 부족해 보입니다. 다양한 지원책에도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간 충북의 만18세에서 39세까지 청년인구는 꾸준히 감소했습니다// 청년들은 지원이 현금성 보상에만 머물러 있고 그마저도 취업한 청년에만 한정돼 있다고 지적합니다. 미취업청년에 대한 지원, 문화 교육 등 정주여건 개선, 다양한 산업군을 유치해 취업 선택의 폭을 넓혀달라고 요구합니다. 김규식 청년뜨락5959 센터장 '청년들이 전공하거나 꿈을 실현하려는 스팩트럼은 넓은데 그 스택트럼을 모아줄 수 있는 산업군 자체가 형성돼 있지 못하다는 점도 충북에서 청년들이 자리잡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생산의 중추인 청년층의 유출을 막기 위해선 일자리와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입체적인 지원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CJB NEWS 구준횝니다. * 현금성 지원 한계... 미취업 청년 맞춤형 대책 필요* #CJB #청주방송 #청년지원 #충북 #청년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