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년 1월 1일부터 부산의 모든 장사시설에서 플라스틱 조화 사용이 전면 금지됩니다.
친환경 정책이자, 화훼농가를 살리기 위한 지원 정책으로 추진되는 건데,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주목됩니다.
하영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영락공원입니다.
묘소 곳곳에 꽂혀있는 조화들, 플라스틱으로 된 꽃잎은 색이 바랬고, 오랫동안 햇빛을 받은 줄기 부분의 철사는 뚝뚝 끊어집니다.
"오랜시간 방치된 플라스틱 조화입니다. 조금만 만져도 플라스틱 조각이 이렇게 가루처럼 흩날립니다. 버려진 조화는 소각되면서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도 내뿜습니다."
이곳에 방치된 채 버려지는 조화는 한해 65톤이 넘습니다.
이렇게 버려진 조화들을 자원봉사자들이 걷어내기 시작합니다.
부산시가 내년 1월 1일부터 부산의 모든 장사시설에서 플라스틱 조화 사용을 금지했기 때문입니다.
{정윤재/자원봉사자/환경적으로 문제가 됩니다, 이것은. 전부 다 썩어 지하수로 들어가면은 우리가 물 먹고 하는데, 인체에도 다 피해가 있고.}
플라스틱 조화 사용이 금지되면 연간 150여 톤의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 매년 수입되는 조화 2천톤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 입자 130억개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습니다.
조화 사용 증가와 수입산 꽃들의 대량 유통으로 어려움을 겪는 화훼농가도 활기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지난 2022년, 경남 김해시를 시작으로, 조화 사용을 금지하는 부산*경남 지자체가 늘고 있습니다.
{김선호/부산시 자원순환과/"생화 같은 경우엔 퇴비로도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부분이 어느정도 있다고 저희가 판단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검토해서 (환경보호 노력하겠습니다.)"}
플라스틱 조화 사용 금지가 환경 개선과 화훼농가 회복이란 1석 2조의 효과를 불러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