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jtv

전북특별법 본격 시행...'재정 특례' 과제

기사입력
2024-12-26 오후 9:30
최종수정
2024-12-26 오후 9:30
조회수
17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올 한 해를 돌아보는 순서입니다.

전라북도는 지난 1월 128년 만에
전북특별자치도로 이름을 바꾸고
공식 출범했습니다.

내일(27일)부터는 실제로
특별한 자치를 시작할 수 있는
특별법도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특례는
여전히 시급한 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정원익 기자입니다.

전라북도는 지난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로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제주와 강원, 세종에 이어 네 번째입니다.

[김관영/도지사(지난 1월 18일) :
전북도민은 똘똘 뭉쳐서 새로운 미래를 담대한 마음으로 개척해낼 것입니다.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100년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전북특별자치도의 설립과 운영을 위한
근거는 바로 전북특별법.

333개의 특례를 바탕으로
도지사가 정부와 관련 절차를 생략하고
자체 사업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황철호/전북자치도 자치행정국장
(지난 1월 17일) : (도지사가) 주도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생겼기 때문에 이러한 자치권 행사를 통해서.]

전북자치도는 농생명과 문화관광,
고령친화, 미래첨단, 민생특화 등 5대
핵심사업 육성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를 위해
이차전지, 동물용 의약품산업 진흥 등
모두 75개 과제를 구체화했습니다.

또 새만금 고용특구와 농생명산업지구 등
이를 뒷받침할 14개의 특구와 지구도 추진됩니다.

[장세길/전북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지난 1월 18일) : 모든 지구나 특구가 제대로 운영된다는 전제 아래 2040년이 되면 약 1,500여 개의 기업이 더 유치되고요.]

전북자치도는 특별법 시행과 동시에
준비를 마친 50여 건의 과제부터 본격적인 실행에 들어갑니다.

또 더 많은 특례를 발굴하고
특별자치도에 대한 도민들의 이해와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무엇보다 전북특별법 2차 개정에서는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는데 역량을 집중할
계획.

[김종훈/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 :
기재부의 의견도 굉장히 중요하죠. 그래서 그런 것들을 좀 감안해서 가장 우리한테
유리한 방향으로 이렇게 방향을 정해
나갈까 이런 생각입니다.]

올해 초 닻을 올린 전북특별자치도가
특별법 시행으로 돛을 활짝 펴고
본격적인 항해를 시작했습니다.

JTV뉴스 정원익입니다. (JTV 전주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