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jtv

화재 감지기 '오작동'... 1년에 3천 건 육박

기사입력
2024-12-24 오후 9:30
최종수정
2024-12-24 오후 9:30
조회수
11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불이 났다는 경보음이 울렸다가도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으로
소방차가 출동한 경우가 도내에서만
1년에 3천 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민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10월 전주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주차장의 열 감지기가
관리사무소의 자동 속보설비로 연결돼
신고가 이뤄졌습니다.

자동 화재속보기입니다.
화재 상황이 감지되면
소방서에 자동으로 화재 신고가 접수됩니다

하지만, 감지기가 오작동 해서
화재 신고가 들어오는 경우가 끊이질
않습니다.

아파트 관계자 (음성변조)
[(감지기의) 열의 아홉은 오작동이라는 거예요. 생선을 태웠거나, 드라이기를 썼거나, 그 아래에서 담배를 피웠거나, 밥솥의
김이 확 올라왔거나.]

CG// 최근 3년 동안
전북에서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으로
소방서에서 출동한 경우는
9천 건에 육박합니다.

하루 평균 8건 수준입니다.//

습기나 먼지, 기기 오류 등이
원인이 되는데 장마 기간이나
일교차가 큰 날에는 더욱 취약합니다.

소방관계자(음성변조)
[속보기 오작동이에요. (오늘 오작동이 많았네요?) 지금 한 네 번 정도 갔다 온 것 같아요.]

잦은 오작동은 화재 신고에 대한 경각심을
떨어뜨리고 소방력의 낭비로 이어지게
됩니다.

공하성/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신뢰성이 높은 속보기를 설치했을 때 화재보험료를 인하해 준다든지, 세금을 감면해 준다든지, 이런 유인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소방 당국은 건물 관리인 교육 등
나름대로 개선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올 상반기에 오작동으로 인한
출동 건수는 900건이 넘었습니다.
JTV 뉴스 김민집니다.(JTV 전주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