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jtv

산불 난 곳... 산사태 위험 '200배'

기사입력
2025-04-06 오후 9:30
최종수정
2025-04-06 오후 9:30
조회수
6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도내 곳곳에서 발생한 산불은 깊은
생채기를 남겼는데요

산불이 난 곳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일반 산림의
무려 200배가 된다는 산림청의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비가 내렸을 때 산림이 빗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것인데요
선제적인 대응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학준 기자입니다

산 중턱 곳곳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한밤중 200여 명의 주민들을
공포로 몰아넣은 화마의 상처입니다.

올해 도내에서 발생한 산불은 모두 16건,
41ha의 임야가 불에 탔습니다.

주민들은 놀란 가슴을 겨우 쓸어내렸지만,
다가오는 여름이 걱정입니다.

[ 서병기 / 무주군 부남면 :
집중호우가 내릴 때는 이게 (비가) 굉장히 많이 내리거든요. 내리면 막 산사태 나고 막 계곡물이 흐르고... ]

산림청은 집중호우에 따른 산사태 가능성이 산불 지역의 경우, 일반 산림의
200배가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산불이 지나간 토양에서는
빗물 흡수 능력이 떨어지고
불에 탄 나무가 물을 머금는 기능을 상실해
폭우가 내렸을 때
산사태 위험이 커진다는 것입니다.

[서준표 /국립산림과학원 산사태연구과 :
토양 표면에 기름층이 이제 생겼다라고 이렇게 생각하시면 (돼요) 빗물이 그로 인해서 이제 안으로 침투를 못하게 되는 거죠.]

결국, 산림과 인접한 민가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 김미자 / 무주군 부남면 :
걱정되죠. 당연히 산에 나무가 많아야 이게 비가 홍수가 났을 때 그 나무 뿌리가 이 산을 흡수를 하잖아요. ]

무주군 부남면의 불이 난 야산 부근에는
4개 마을에 420명,
정읍시 소성면의 산불 지역 주변에는
83가구, 124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채희문 / 강원대 산림환경보호학과 교수:
산사태 취약 지역을 선정하고, 응급 복구를 하고 지속적으로 집중 호우가 내리면
모니터링이 좀 필요합니다. ]

올해는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산불 지역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점검과 선제적인 대응 방안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JTV 뉴스 김학준입니다.(JTV 전주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