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_1}<span><br></span>제주시 내 도심지 공원에 설치된 '꼬마도서관'이 지역주민들의 책 읽기 분위기 조성에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br><br>29일 제주 반딧불이 작은도서관(관장 양창근)에 따르면 지난 2014년 제주시 신제주로터리 인근 삼다공원에 제1호 꼬마도서관을 조성한 이래 현재까지 17개 꼬마도서관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br><br>꼬마도서관은 도서관을 방문하는 것이 쉽지 않은 주민들을 위해 공원에서 책을 대출할 수 있는 도서함을 설치해 책을 공유하는 일종의 독서운동입니다. <br><br>이용 방법은 도서함에 비치된 책 가운데 읽고 싶은 책을 자율적으로 대출했다가 반납하는 방식으로, 대출 장부 작성 등 별도의 절차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br><br>도서 회수율도 80~90%에 달할 만큼 높습니다. <br><br>일부 주민들은 오히려 공유하고 싶은 책을 기증하기도 합니다.<br><br>현재는 삼다공원과 신산공원을 비롯해, 제원아파트 인근 제8호 공원, 제78호 공원(외도부영 2차), 한마음 근린공원(베라체), 아라동 근린공원(아라아이파크) 등 17곳에 설치됐습니다. <br><br>이 가운데 제46호 어린이공원(한라병원)과 삼무공원, 노형1근린공원(노형뜨란채) 등 7곳은 이번에 신규 설치 및 교체가 이뤄진 곳입니다. <br><br>꼬마도서관은 명칭과 달리 성인들을 위한 도서도 비치돼 있습니다.<br><br>공원을 주로 이용하는 사람들을 파악해 어르신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원에는 시집이나 글씨가 큰 장서를, 어린이집이 가깝거나 어린이 이용객들이 많은 공원엔 아동용 장서를 더욱 많이 배치합니다.<br><br>꼬마도서관 설치 이후 방치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매주 관리 상태를 점검하는 것은 물론, 비치된 장서를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등 관리에도 정성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br><br>양창근 관장은 "꼬마도서관을 꾸준히 운영하다 보니 지역주민들이 주인 의식을 갖고 운영하는 곳도 있다"며, "책 읽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앞으로도 꾸준히 사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r><br>한편, 내일(30일) 오후 2시 제주시 한라병원 인근 제46호 어린이공원에서는 신규 꼬마도서관 개관식이 열립니다. <br>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