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나이가 들면 이런저런 이유로 치아를 한두 개씩 잃게 마련입니다.
요즘은 치과 기술이 발전하면서 틀니 대신 임플란트 몇 개로 전체 치아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데요.
건강365에서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고령층의 치아 건강 실태를 보면, 남은 치아가 거의 없는 무치악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80대 이상에서는 틀니를 사용하거나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하지만 최근 치과 기술이 발전하면서, 틀니 외에도 다양한 대안이 생겼습니다.
===============================
(우성준 창원램브란트치과병원 병원장 /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한중 글로벌치의학회 학회장 )
{Q.틀니 선호하시는 분들이 많이 줄었죠? }
{예전에 잇몸뼈가 좋지 않을 때는 임플란트를 하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틀니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는데요.
틀니는 아무래도 강한 힘으로 식사를 하지 못하고 심미적으로도 불편한 게 많았는데요.
요즘은 디지털 기술이 좋아지면서 틀니보다는 웬만해서는 임플란트가 가능하면 임플란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
================================
틀니는 시간이 지날수록 불편함이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무치악 환자의 경우, 보다 체계적인 치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
{Q.치아 없는 고령층에게 잘 맞는 임플란트는? }
{고령이신 분들의 경우에는 전체 임플란트를 하게 되면 너무 많은 임플란트 개수가 들어가기 때문에 요즘은 디지털 풀아치라고 해서 한 악(턱)을 마무리 하는 데 4~6개 임플란트만으로 전체를 수복하는 방식이 적당하고 좋습니다. } ================================
디지털 풀아치는 비교적 적은 개수의 임플란트로도 치아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덕분에 수술 부담이 줄고, 회복도 빠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개인의 구강 상태에 따라 치료 방식이 달라질 수 있어 전문적인 상담이 중요합니다.
================================
( 우성준 / 창원램브란트치과병원 병원장 )
{Q.디지털 풀아치 임플란트, 기존 치료와 차이점은? }
{뼈가 안 좋아서 틀니를 쓸 수밖에 없었던 분들은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틀니는 고정력이 약해서 씹는 힘이 불편하고 심미적으로도 보기가 안 좋습니다.
이에 반해서 디지털 풀아치 같은 경우는 고정식 보철물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씹는 힘도 강하고 심미적으로도 뛰어납니다.
그리고 적은 개수의 임플란트만으로 전체를 수복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적으로도 좋으며 수술적 부담도 줄여줄 수 있습니다. }
================================
오늘은 무치악 환자들을 위한 임플란트 치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치아를 잃었다고 해서 불편함을 감수할 필요는 없습니다.
치과에서 본인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