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이미지 1
【 앵커멘트 】
정부나 지자체 개발 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들만 개발 정보를 알는 줄 알았는데,
정보가 엉뚱한 곳에서 새고 있었습니다.
지방의회 얘긴데요.
경찰이 세종시의회에서 유출된 개발 정보가
공무원들의 세종 스마트산단 투기에
활용됐다는 의혹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대전시의원들도 투기 의혹이 불거졌는데,
당사자들은 투기가 절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류 제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2017년 11월 16일 세종시의회 산업건설위
회의 영상입니다.
세종시 경제산업국장이 국가산업단지 조성
관련 내용을 의회에 보고 합니다.
▶ 인터뷰 : 세종시 경제산업국장
- "세종시의회 (2017년 11월 16일 ) / 세종 국가산업단지 조성입니다. 지금까지 추진 상황으로는 국가산단 조성 공동 대응을 위해 LH 등 유관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국가산단 조성 국토부 대응자료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세종시의회에 근무하며 제출 법안을 총괄하던
A씨는 이때 정보를 취득했던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습니다.
두달 뒤 A씨의 형수는 지인 4명과 함께
세종시 연서면에 농지를 샀는데, 현장에는
벌집 5채와 나무가 심겨져 있습니다.
7개월 뒤 이곳은 스마트산단으로 지정됐습니다.
현재 이곳의 시세는 3년 전보다 3배 이상
올랐습니다.
▶ 인터뷰 : 현지 부동산 관계자
- "그 주택에 대해 먼저 보상을 받고, 또 이주자 택지라고 하는 또 다른 보상이 있으니까 여러 가지 보상을 노리고, 먼저 조립식 패널로 집을 지은 거죠."
A씨와 형, 형수 모두 현직 세종시 공무원으로
세종경찰청은 압수수색을 통해 이들을 부패방지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수사하고 있습니다.
▶ 스탠딩 : 류제일 / 기자
- "또, 조사를 받고 있는 3명의 공무원 가운데 한 명이 세종시의회에 근무한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세종시 의회를 통해 개발 관련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투기 행위를 벌였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
▶ 인터뷰 : 김경렬 / 세종경찰청 수사과장
- "압수 수색했던 자료들 철저히 분석하고 있고요, 의혹이 제기된 공무원 등에 대해서 내부 정보를 이용해서 토지를 구매했는지 철저히 조사하고 있습니다."
대전시의원들도 지난해 개발 부지 인근 땅을
매입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공직자 재산변동에 따르면
한 시의원은 지난해 6월 세종 부강면와 붙어있는 청주 현도산단 옆 부지를 매입했습니다.
또 다른 시의원은 지난해 2월 대전교도소 이전 후보지와 2km 떨어진 유성구 성북동에 밭을 샀는데, 당사자들은 투기와 전혀 상관없다고 밝힙니다.
▶ 인터뷰(☎) : 대전시의원
- "동생이 정치 그만두고 거기에 집 짓고 살자 그러면서 본인이 소개를 해서 내가 그걸 산 거고, 거기는 투기지역도 아니에요."
각종 자료가 넘쳐나는 지방의회가 공무원들과 지방의원들의 투기 정보 입수의 창구가 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TJB 류 제일입니다.
[영상취재 : 황윤성 기자]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