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적조에 폐사 '현실로'...폭염 이어 적조 ‘비상’

기사입력
2025-08-29 오후 5:53
최종수정
2025-08-29 오후 8:49
조회수
1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남해안에 적조로 인한 물고기 폐사가 현실로 나타났습니다. 적조 피해는 2019년 이후 6년 만인데, 앞으로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적조가 덮친 경남 남해군 미조면 앞바다입니다. 양식장 수면 위로 폐사한 참돔과 우럭 수 만 마리가 떠 있습니다. 뜰채로 건진 물고기를 통에 담아 육지로 옮기는데,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양식장을 덮친 적조에 무더기 폐사가 터지면서 어민은 속이 타들어갑니다. {박장훈/적조 피해 양식 어민/"지금 돔하고 우럭하고 현재 (폐사가) 진행 중이라...돔은 거의 90% 정도 죽었고, 우럭은 반 정도 폐사한 정도 되고...} 겨우 고수온을 넘나했더니 터진 적조 폐사에 어민들은 황망합니다. {양종혁/적조 피해 양식 어민/"이 정도로 (적조가) 심하게 온 것은 저도 10년 밖에 안 돼가지고 처음 봤습니다. (적조가) 안 왔으면 제일 좋겠고, 고수온이 안 오면 적조가 오고 적조가 안 오면 고수온이 오더라고요..."} 남해에서는 어제(28) 하루 넙치와 감성돔 등 7만8천마리가 폐사했습니다. 2019년이후 6년만의 적조 피해인데 적조생물은 최근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서연우/남해군 수산자원과장/'(적조 생물이) ML당 1,000개체가 경보 단계인데 현재는 2,000개체 이상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현재 경남 서부에는 적조주의보가, 중부에는 적조 예비특보가 발령됐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남해 앞바다에서는 적조 방제작업이 한창입니다. 방제작업에는 방제정 10척과 어선 30여척이 동원돼 양식장 주위로 황토물을 뿌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부터가 걱정입니다. 24도에서 27도의 연안수온은 적조생물이 가장 잘 번성하는 수온대입니다. {박태규/국립수산과학원 기후경변화연구과 박사/"일단은 냉수대 원인이고요. 연안 쪽은 이제 수온이 좀 낮고, 이 수온대가 계속 유지가 되고 있으면 적조 생물이 얼마든지 (동부 해안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지금 있습니다."} 고수온이 식기도 전에 찾아온 적조 폐사의 위기에 가을 출하를 기대하던 남해안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