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tjb

악성 미분양 다시 증가…지방 2.2만가구로 83.5%

기사입력
2025-08-29 오전 10:32
최종수정
2025-08-29 오전 10:32
조회수
9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화는 가운데 주택을 지어 놓고도 팔리지 않는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이 지난달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 공급지표 중 인허가와 준공은 지난 해 대비 감소했고 착공과 분양은 늘었습니다.

다만 상반기까지 추이가 워낙 부진했던 터라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다가올 공급 부족을 상쇄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7천57가구로 전월 대비 341가구(1.3%) 늘었습니다.

준공 후 미분양은 2023년 8월부터 올 5월까지 22개월 연속 증가하다 6월 처음으로 감소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증가로 돌아섰습니다.

준공 후 미분양의 83.5%(2만2천589가구)는 지방 소재 주택으로 집계됐습니다.

대구가 3천707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남(3천468가구), 경북(3천235가구), 부산(2천567가구), 경기(2천255가구) 등 순이었습니다.

다만 일반 미분양은 전월보다 2.3%(1천490가구) 줄어든 6만2천244가구로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수도권이 1만3천283가구로 4.7%(656가구), 지방은 4만8천961가구로 1.7%(834가구) 각각 줄었습니다.

주택 공급지표 중 인허가는 전국 1만6천115가구로 지난 해 같은 기간 대비 26.1% 감소했습니다.

수도권(9천879가구)은 7.3% 늘었으나 지방(6천236가구)이 50.6% 줄어 온도차가 컸습니다.

착공은 전국 2만1천400가구로 지난 해 대비 33.5% 늘었습니다.

수도권(1만708가구)이 35.8%, 지방(1만692가구)은 31.4% 늘어 동반 상승했습니다.

공동주택 분양은 수도권(1만1천939가구)이 지난 해 대비 71.2%, 지방(1만813가구)은 80.0% 각각 늘어 전국적으로는 전국 75.3% 증가한 2만2천752가구로 집계됐습니다.

광주광역시, 대전, 울산, 세종, 경북은 지난달 분양 실적이 전무했습니다.

준공은 전국 2만5천561가구로 작년보다 12.0% 감소했습니다.

수도권(1만5천115가구)은 46.5% 늘었지만 지방(1만446가구)은 44.2% 줄었습니다.

지난달 비(非)아파트를 포함한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6만4천235건으로 전월 대비 13.0% 줄었습니다.

수도권(3만4천704건)이 19.2%, 지방(2만9천531건)은 4.3% 각각 감소했습니다. 서울(1만3천46건)은 15.5% 줄었고, 강북(6천303건, 20.6%↓)의 감소폭이 강남(6천743건, 10.2%↓)보다 컸습니다.

전국 아파트 거래(4만9천940건)는 전월보다 15.2%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8천485건)이 21.5%, 수도권 전체(2만5천696건)는 23.8% 각각 줄었습니다.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부동산 대책 등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전월세 거래는 전국 24만3천983건으로 전월보다 0.7% 늘어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전세 거래량(8만8천66건)으로 0.9% 감소한 반면 월세(15만5천917건)는 1.6% 늘었습니다. 지난 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월세 증가율은 28.0%로 높아졌습니다.

1∼7월 누적 월세 거래량 비중은 2021년 42.3%에서 2022년 51.5%, 2023년 55.0%, 올해에는 61.8%까지 상승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