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연구개발(R&D) 예산을 35조4천억원 규모로 책정했습니다.
이는 올해보다 약 5조7천억원(19.3%↑)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대 수준의 인상 폭입니다.
정부는 29일 발표한 2026년 예산안에서 이런 내년도 R&D 예산 규모를 공개하고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분야별 핵심 기술개발, 민간 수요 기반 기술사업화, 첨단인력 3만3천명 확보를 위한 3대 프로젝트 추진, 기초연구 생태계 복원 등에 투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우선 AI(A), 바이오(B), 콘텐츠(C), 방산(D), 에너지(E), 제조(F) 등 이른바 'A·B·C·D·E·F' 첨단산업 기술 개발에 올해보다 2조6천억원 늘어난 10조6천억원을 투입합니다.
AI는 피지컬 AI 5대 선도사업, K-온디바이스 등에 올해 대비 2배인 2조2천억원을 투입하고, 바이오는 바이오 빅데이터, AI 모델 활용 항체 개발 등에 3천억원 늘어난 1조6천억원을 투입합니다.
콘텐츠는 AI 콘텐츠 제작기술 개발에 2천억원을, 방산은 보라매(KF21) 등 주요 방산 제품의 핵심부품 국산화와 국산 엔진 개발에 6천억원 늘어난 3조7천억원을 투입합니다.
에너지는 차세대 전력반도체(SiC반도체), 태양광 유리, LNG 화물창 등 핵심 기술 개발에 4천억원 늘어난 2조2천억원, 제조는 특수탄소강 기술개발 등에 5천억원을 투입합니다.
기술사업화 분야는 팁스(TIPS·민간투자 주도형 기술창업 지원) 사업군 예산을 6천412억원에서 1조1천64억원으로 대폭 확대해 일반 분야 지원금은 5억원에서 8억원, 스케일업은 12억원에 30억원으로 증액하고 수혜 기업도 846개에서 1천240개로 확대합니다.
또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매출액에 기반한 대출이 아닌 프로젝트에 기반해 대출을 지원하는 R&D 사업화 보증에 내년 3천억원을 공급합니다.
인재 분야에서는 양성(코어 인 코리아), 유치(브레인 투 코리아), 유출 방지(스타 인 코리아) 등 첨단인력 3만3천명 확보를 위한 3대 프로젝트에 1조4천386억원을 투입합니다.
코어 인 코리아는 인재 양성 규모를 2만7천명에서 3만1천명 규모로 확대하고 현장 기반 산학공동 연구를 강화하는 내용이 담깁니다.
브레인 투 코리아는 세계 최고 수준 투자를 통해 내년 640명 등 5년간 2천명을 목표로 유수 기관 석학 등 해외 인재 유치에 나서겠다는 목표입니다.
스타 인 코리아는 집단 및 개인 연구 지원을 확대하고 박사 우수 장학금 신설 등을 통해 연구자 사기를 진작시켜 인재 유출을 방지하는 내용이 담깁니다.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소규모 수탁과제를 경쟁 수주하는 연구과제중심제도(PBS)를 폐지하고 대규모 융합연구 체제(기관전략개발단, ISD)로 전환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PBS 기반 과제는 2억~3억원 규모 1천877개로, 이를 90억~450억원 규모 100개 과제로 조정하게 됩니다.
개인 기초연구 분야에서는 지방 및 신진 연구자 연구 지속성 보장을 위해 1억원 미만 풀뿌리 소액 연구 2천개를 신설하는 등 2조2천657억원을 배정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