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동해안 문어낚시 어민들이 어구 문제로 불만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오래전부터 보조금을 통해 지자체가 정한 업체에서 어구를 구매해 사용했는데,
한 업체가 수년간 특허 받은 제품 대신 불량 어구를 판매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겁니다.
김도운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터]
동해안 문어잡이 어민 대부분은 흘림외줄낚시 방법으로 문어를 잡습니다.
무게추 역할을 하는 어구 몸통에 미끼와 철사를 달아 문어를 낚는 방식입니다.
과거에는 무게추에 납을 사용했는데 바다 환경과 어민 건강이 우려되면서,
지난 2004년부터 유해물질이 들어가지 않은 친환경 어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강원자치도가 보조금 사업으로 추진했습니다.
어민 자부담 20%를 포함하면 지난해까지 연평균 4~5억 원씩, 20년간 90억 원 가까운 사업비가 투입됐습니다.
강원 동해안에서는 두 업체가 관련 사업을 진행했고, 최근 한 곳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S / U ▶
"동해안 대부분 지역에 납품했던 이 어구는 기존 약속했던 특허 제품과는 다른 어구였습니다."
아연으로 만든 친환경 어구 특허를 믿고 구매했는데, 실제 판매된 어구는 구조가 달랐습니다.
일부 부속품도 빠졌습니다.
어선 한척당 연간 4~500개 정도를 사용하는 어민들도 이상한 점은 느꼈지만,
자치단체가 선정한 업체라 지금껏 믿고 사용했습니다.
동해안 어민
"(다른 어구는) 바위에 걸려도 부드러워요. 걸려도 이게(철사가) 휘어져서 올라온다고. 근데 이건 강하니까 끊어져버려요. 그럼 이게 재사용이 안되잖아요. 그럼 버려야 돼요."
해당 업체는 이같은 논란에 대해
"특허대로 친환경 재료를 썼고, 어구를 제작하다 보니 작업 능률이 떨어져 조금 다르게 제작한 건 맞지만 기능상 문제될 게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어민 민원이 잇따르면서 해경도 해당 업체 관계자를 입건해 사기와 보조금위반법 등의 혐의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G1뉴스 김도운 입니다.
< copyright © g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