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다리가 터질 듯이 저려서 걷기 힘들 때, 열에 아홉 분은 척추관이 좁아진 탓이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그런데 척추 신경 뿌리가 빠져나오는 구멍이 좁아졌을 때도 같은 증상이 생기는데요.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면 좋을까요? 건강365에서 짚어봅니다.
척추 뼈 사이에서 신경가지들이 빠져나오는 작은 구멍, 추간공입니다.
이곳이 좁아지면 '추간공 협착증'이라고 진단하는데요.
신경 통로 자체가 좁아지는 척추관 협착증과는 다소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정종철 부산큰병원 병원장 /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 조교수 역임,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종신회원 )
{ 척추 내부에는 목에서부터 허리까지 이어지는 척추관이라는 하나의 큰 통로가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척추 마디마디마다 좌우 양쪽으로 신경 뿌리가 빠져나오는 작은 구멍이 있는데 이 척추 사이 구멍을 추간공이라고 합니다.
추간공 앞에서는 디스크가 탈출되기도 하고 뒤쪽에는 후관절과 인대가 두꺼워지기도 하는데 그러면 추간공이 좁아지면서 신경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
척추 신경이 점점 압박되면 다리가 터질 듯이 저려 걷는 것도 힘들어집니다.
척추관 협착증과 증상이 아주 비슷하죠?
그래서 실제 환자를 진료해 본 경험이 적다면 정확히 짚어내기 어렵습니다.
이 때문인지 진단과 치료가 까다롭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MRI에서 보이는 정상 추간공은 흰색 공간으로 보이고 협착증이 진행되면 주위 검은색 조직으로 막힌 부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cm 이하 구멍에서 불과 몇 mm의 작은 디스크, 골극 낭종만으로도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골절이나 척추관협착증 수술을 잘 받은 분들도 추간공 협착증이 점차 진행되면 팔, 다리에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으니 다시 한번 확인해 보는 것도 필요하겠습니다. }
협착증 자체가 대표적인 퇴행성 변화라서 한 번 생기면 꾸준히 나빠집니다.
관리만으로는 통증 조절이 힘들어서 하루빨리 대처해야 더 나은 예후를 보장할 수 있는데요.
통증 양상과 진행 속도, 나이를 고려해서 치료 방법을 결정합니다.
{ 절개 수술은 수술 후 불안정증이 우려되는 경우도 많았고 유합, 고정수술이 불가피한 경우도 많아서 재수술 위험도 높았습니다.
하지만 내시경을 이용하면 근육 사이로 들어가 좁아진 추간공을 선명하게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신경을 압박하는 병소만 제거하고 정상 관절은 그대로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수술에 비해 회복 기간이 훨씬 짧아졌습니다. }
추간공협착증은 디스크 탈출증 같은 다른 척추 질환이 원인이 돼서 생기기도 합니다.
또 하나, 잘못된 자세도 영향을 미치는데요.
허리를 바로 세우는 데 필요한 근력이 약하면 통증을 더 심하게 느낄 수 있어서 일상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데 신경을 기울여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