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에 실려 우주로 쏘아 올려진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지난 2년간의 임무를 성공리에 마쳤습니다.
25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5월 25일 오후 6시 24분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3차로 발사한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이날 자로 우주 궤도상 기술 검증 임무를 마쳤습니다.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KAIST 우주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설계·제작·시험을 거쳐 국산화한 '영상 레이다'(SAR, Synthetic Aperture Radar) 기술의 검증과 전천후 지구관측 임무를 해왔습니다.
SAR는 전자파를 이용한 능동 센서로, 빛과 구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주야간·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지상 관측이 가능합니다.
한반도와 같이 강우와 구름이 빈번한 지역의 감시에 특히 유용합니다.
위성 발사 이후 하루 평균 3∼4회의 영상 촬영을 수행하며 기능 점검과 기술 검증을 진행해 왔으며, 현재까지 1천200차례 이상의 지구관측을 완료했습니다.
임무 수명이 지난 현재도 SAR의 성능이 양호해 관측 임무를 안정적으로 이어가고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습니다.
KAIST 우주연구원은 극지연구소·국립공원연구원과 협력, 지난해 3월부터는 북극 빙권 변화분석과 산림 영역 변화탐지를 위해 관심 지역을 우선 촬영하고 있습니다.
극지연구소는 최근 차세대 소형위성 2호와 유럽 우주청(ESA)의 '센티넬-1호'(Sentinel-1) 관측 데이터를 융합해 캐나다 북극지역의 밀른 '빙붕'(Ice Shelf·바다에 떠 있는 거대한 얼음층)에서 2021년부터 2025년 사이 빙붕 뒤편 얼음 호수의 면적이 무려 15㎢나 증가한 사실을 포착했습니다.
북극의 기후 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분석됩니다.
차세대 소형위성 2호 영상자료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계절 변화 탐지, 고지대 침엽수 고사·산사태와 같은 산림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산불 발생 시에도 화염과 연기를 뚫고 관측이 가능해 넓은 면적의 보호구역을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KAIST 우주연구원은 차세대 소형위성 2호 관측 영상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우주항공청의 예산 지원으로 위성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연구기관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 영상 제품으로 가공하는 시스템도 개발 중입니다.
한재흥 우주연구원장은 "연구원이 개발한 영상 레이다 시스템이 100㎏급 소형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에 탑재돼 관측 임무를 완수했다는 점은 우주용 영상 레이다 시스템의 소형·경량화 기술 확보와 국내 위성기술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