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허리 통증 양대산맥, 어떻게 구분할까?
[앵커:]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 허리 질환의 양대산맥으로 손꼽히죠.
닮은 듯 다른 두 질환,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건강365에서 차이점을 알아봅니다.
[리포트]
디스크 탈출증과 척추관협착증,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양대산맥입니다.
닮은 듯 다른 두 질환,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출연자]
(박용건 힘찬병원 관절센터 원장 / 전 부산대학교병원 척추센터 조교수,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회원 )
{허리디스크라고 말하는 추간판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신경이 있는 쪽으로 '튀어나와' 신경을 눌러 통증을 느끼게 되는 질환이며,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내려가는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이 압박을 받아 통증을 느끼게 되는 질환입니다. }
[리포트]
두 질환 모두 퇴행성 변화로 생기지만, 디스크 탈출증은 10대부터 노년층까지.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중년 이후에 생깁니다.
[출연자]
{ 신경을 압박하여 다른 부위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사통이라 하는데,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엉덩이에서 다리로 내려가는 방사통을 느끼게 됩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에도 다리가 저려 걷기 힘들어지는 방사통을 느끼게 됩니다. }
[리포트]
대신 자세히 비교해 보면 통증 양상이 조금 다릅니다.
간단하게 알아차리는 방법이 있을까요?
[출연자]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에는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통증이 심해지며,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에는 앞으로 굽힐 때는 큰 통증이 없지만 뒤로 젖히면 통증이 심해집니다.
또한 누워서 다리를 들어올리는 하지직거상 검사를 통해 큰 차이를 알아 볼 수 있는데, 추간판 탈출증은 지속적으로 다리가 아파 다리를 잘 들어 올리지 못하지만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에는 걸을 때만 다리가 아파 다리를 들어 올리는 동작에 무리가 없습니다. }
[리포트]
한번 생기면 꾸준히 나빠지는 허리 질환.
푹 쉬어도 차도가 없으면 지체 없이 치료해야 고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출연자]
(박용건 / 힘찬병원 관절센터 원장 )
{ 두 질환 모두 통증이나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라면 신경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및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이 가능합니다.
만약 이런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통증이 지속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
[리포트]
휴가철 장거리 운전으로 허리 통증을 느끼는 분들이 많죠.
엉덩이는 좌석에 붙이고 허리를 곧게 펴는 자세가 좋은데요.
틈틈이 휴게소에 들러서 스트레칭을 하거나 잠깐 눕는 것도 허리 부담을 줄입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