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디스크 돌출, 이 정도면 수술하세요!
[앵커]
허리디스크 수술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지만, 마냥 미루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수술법도 발전했는데요. 작은 절개로 근육을 최대한 살려서 후유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건강365에서 확인해 봅니다.
[리포트]
허리디스크, 정확하게는 디스크가 탈출된 겁니다.
디스크는 원래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덜어주는데요.
이게 튀어나오면 문제가 시작되는 겁니다.
[출연자]
(윤명수 부산큰병원 원장 / 의학박사, 척추내시경학회 상임이사 )
{대부분의 디스크는 기존 퇴행성 병변이 있는 부위에서 터져 나오기 때문에 모른 채로 살아가셨지만 이미 가지고 계셨던 분들이 많고요.
(허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넘어진다든지 떨어진다든지 큰 이벤트가 될 수도 있지만, 일상생활 중에 의자에서 잠시 일어나는 이 정도의 충격에도 디스크 (탈출은) 언제든지 생길 수 있습니다. }
[리포트]
노년층에서는 퇴행성 변화로 디스크 탄력이 줄어드는 게 원인입니다.
반면 젊은 층에서는 잘못된 자세와 비만, 무리한 운동이 디스크에 부담을 줍니다.
[출연자]
{일반적으로 심하지 않은 디스크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등으로 호전이 되는 경우가 많고요.
여기에 반응을 잘 안 하는 경우에도 주사치료나 시술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증상이 잘 호전되지 않는 경우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리포트]
기존의 척추 수술은 큰 절개가 불가피했기 때문에 근육이나 인대가 손상됐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한계를 보완한 수술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출연자]
{우리 몸의 근육은 고무줄과 같아서 절개를 하는 순간 기능을 잃게 되고 봉합을 한다 하더라도 제 기능을 발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내시경은 근육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서 탈출된 디스크만 제거하고 바로 빠져나오는 방법이기 때문에 근육 손상이 적습니다. }
[리포트]
내시경 수술은 고혈압이나 당뇨 같은 기저 질환이 있거나 고령인 환자도 가능합니다.
수술 후에는 일상생활에 무리가 없을까요?
[출연자]
(윤명수 / 부산큰병원 원장 )
{아무리 운동을 열심히 해도 근육이 커지는 시기가 보통 3개월 정도는 걸립니다.
그래서 3개월 동안은 무거운 물건을 든다든지 하는 행동은 조심하시는 게 낫겠고요.
운동을 열심히 해서 근육이 커지고 나면 6개월 정도 지나고 나면 스키를 타러 다니셔도 별 문제가 없으니 너무 걱정 안 하셔도 될 거 같습니다. }
[리포트]
날씨가 더워지면서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고 있죠.
오래 앉아있는 자세 자체도 허리에 부담을 주지만, 다리를 꼬거나 구부정한 자세는 허리에 하중이 집중되는 가장 나쁜 자세입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