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bc

국내 기준금리 사상 첫 '빅스텝', '3연속 인상' 눈앞

기사입력
2022-07-12 오전 07:12
최종수정
2022-07-12 오전 07:12
조회수
119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13일 개최
-사상 첫 빅스텝(0.50%p 기준금리 인상) 유력
-미국 금리ㆍ환율 상승 부담


국내 기준금리를 결정하게 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하루 앞두고 사상 첫 빅스텝(기준금리를 1회에 0.50%p 인상)이 예상됩니다.

통상적으로 금리 변동은 0.25%p 단위로 이뤄지지만 최근 급속히 치솟고 있는 물가와 환율 등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해 빅스텝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입니다.

지난 4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잇따라 0.25%p씩 금리를 인상한 한국은행이 13일 또다시 금리를 인상한다면 사상 첫 '3회 연속 금리 인상'으로 기록됩니다.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인상을 강행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 때문입니다.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자지수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가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외환위기가 한창이었던 1998년 11월(6.8%) 이후 무려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물가인상률을 기록한 것입니다.

향후 1년간의 물가 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3.9%까지 올라 지난 2012년 4월(3.9%)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물가 안정에 대한 강력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방법으로 지속적이고 큰 폭의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입니다.

미국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도 국내 기준금리 상승을 부추기는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1.50~1.75%로 1.75%인 한국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꾸준히 금리를 인상하고 있어 한미간 기준금리 역전도 가능한 상황입니다.

이미 지난달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를 1회에 0.75%p 인상)을 강행한 연준은 이번달 한 차례 더 자이언트스텝을 결정할 것이 유력한데 사상 초유의 2연속 자이언트스텝이 현실화할 경우 우리나라 기준금리와 같거나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역전되면 국내에 투자했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이 보장되고 더 안정성이 강한 미국 시장으로 옮겨가면서 원화의 가치가 급락할 수 있습니다.

원화의 가치 하락은 다시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국내 물가를 치솟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급격한 금리인상은 이자 부담 증가와 이로 인한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은행이 빅스텝 대신 0.25%p 인상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일부 제기되고 있습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