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얼마 전 정부가 2.4 부동산 대책 후속으로 광주 광산구 산정지구에 1만 3천 세대의 공공주택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평동준공업지역 등 연이은 대규모 주택 공급 계획이 치솟는 광주 지역 분양가를 안정 시킬 수 있을 지, 시장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임소영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2029년까지 1만 3천 세대의 아파트가 들어서게 될 광주 광산구 산정지구입니다.
(cg)
전체 35%인 4천여 세대가 공공임대주택으로 분양되고, 나머지 8천여 세대는 일반 분양됩니다.
광주형일자리와 연계한 빛그린 산단 근로자와 광주형 평생주택용 공공임대주택은 소형부터 전용면적 85제곱미터의 중형 아파트까지 공급될 예정입니다.
인근 평동준공업지역에도 2026년 8천 세대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입니다.
두 곳에 2만 세대 넘는 대규모 주택 공급 계획에 대한 시장 반응은 엇갈립니다.
우선 입지면에서 의문 부호가 붙습니다.
▶ 싱크 : 부동산 관계자
- "주택단지로는 공단 인근이라 크게 각광은 못 받을 거 같은데"
여전히 다른 지역보다 높지 않은 집값을 생각할 때, 분양가 인하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란 의견도 나옵니다.
▶ 싱크 : 부동산 관계자
- "공급만 많이 한다고 내려가는 건 아닌 것 같아요 지금도 계속 짓고 있는데도 부동산은 높아지잖아요."
반면 도심 재생, 민간공원 특례사업 등 민간아파트 공급도 줄을 잇는 만큼, 지역 아파트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적쟎습니다.
▶ 인터뷰 : 최현웅 / 사랑방미디이어 부동산팀장
- "공공영역에서 이전보다 많은 물량이 발생할 거라는 충분한 신호가 있다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공급이 늘어나기 때문에 투자목적으로 주택을 늘려가는 상황이 저지가 되는 효과도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광주의 주택보급률은 특ㆍ광역시 중 울산 다음으로 높은 107%.
전문가들은 광주의 아파트 값 급등 원인이 공급 부족 때문은 아닌 만큼,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입지와 주변 여건 등 수요자 눈높이에 맞는 공급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c임소영입니다.
< copyright © k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