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최근 3년새 광주의 전화금융사기 발생 건수가 250%나 급증하는 등 보이스피싱 피해가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수법이 진화하고 있는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해 인공지능 AI 프로그램까지 총동원되고 있는데요.
실제로 얼마 전 은행 직원의 기지와 AI 프로그램을 통해 수천 만원의 피해를 막았습니다.
임소영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지난 23일 광주 광산구의 한 은행 지점.
불안한 듯 예금인출을 서두르는 70대 노인에게 은행직원이 사용처 등을 물으며 시간을 끕니다.
3천6백만 원을 현금으로 인출하려던 이 노인은 먼저 다른 은행에서 천여만 원을 찾아 집앞 우편함에 넣어둔 뒤, 추가로 돈을 찾으러 온 상황이었습니다.
은행 직원들이 검찰 사칭 보이스피싱이라는 사실을 알리자, 노인은 황급히 집으로 돌아갔지만 우편함의 돈은 이미 사라진 뒤였습니다.
▶ 싱크 : 광주은행 직원
- "은행에서 물어보면 이렇게 대답하라고까지 다 이야기를 했더라고요. 계속 꼬치꼬치 물어보면 치아 고친다고. 그래서 (집에) 놔두려 한다고(시켰다고 합니다)"
3천6백만 원의 추가 피해를 막은데는 전화사기를 알아챈 창구 직원과 AI 감시 시스템이 한 몫을 했습니다.
기존 보이스피싱 사례들을 학습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금융사기 의심거래를 추려냈고, 은행 창구 직원이 적극 대응에 나서 피해를 막은 겁니다.
광주은행은 AI도입 등 보안시스템을 강화하며 지난 2018년부터 37억 원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했습니다.
▶ 인터뷰 : 김선미 / 광주은행 금융소비자보호부 부부장
- "창구에서 여러 손님을 상대하다 보면 사실 사기인지 아닌지, 피해자인지 아닌지 구분하기가 굉장히 어려운데 이 시스템은 어느 정도 검증을 해서 알려주기 때문에"
최근 3년새 광주에서만 무려 250%가 급증한 보이스피싱 피해.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는 금융사기에 맞서, 인공지능까지 동원되고 있습니다.
kbc 임소영입니다.
< copyright © k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