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성별 임금격차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최근 5년간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 감소폭은 OECD 회원국 평균보다 컸지만, 성별 임금격차 수준은 OECD 회원국 평균의 2.6배에 머물렀습니다.
29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낸 '성인지 통계' 주요 내용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 여성은 남성보다 월평균 약 29.0% 적게 임금을 받았습니다.
주요 회원국의 남녀 성별임금 격차는 호주 10.7%, 캐나다 16.5%, 스웨덴 7.5% 등으로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가 가장 컸습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평균 성별 임금격차는 29.3%로 OECD 회원국 평균 11.3%의 약 2.6배 수준이었습니다.
변화가 있다면 성별 임금격차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는 2018년 34.1%에서 2023년 29.3%로 5년간 4.8%포인트(p)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OECD 평균 성별 임금격차는 1.7%p 줄어든 데 반해 한국의 감소폭이 3배 가까이 컸습니다.
2024년 한국의 저임금 근로자 비율은 여성 23.8%, 남성 11.1%로, 여성 근로자가 저임금 노동에 두 배 이상 더 많이 종사했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과 비교 가능 연도인 2023년 기준 한국의 여성 저임금근로자 비율은 24.5%로, 남성(10.9%)보다 13.6%p 높았습니다.
여성정책연구원은 "성별 임금 격차와 저임금근로자 비율은 여성의 경제적 지위와 노동시장 불평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핵심 지표"라며 성평등한 노동시장 구축, 여성 고용의 질적 향상, 여성의 경력 유지, 임금 투명성 제고 노력 등을 촉구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