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히도 무더운 올여름
시원한 계곡을 찾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계곡을
마치 내 땅인 것처럼 돈을 받고 파는
업주들이 있습니다.
자치단체의 솜방망이 단속에
물길을 막고 자릿세를 받아 가며
버젓이 불법 영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JTV 기동취재, 최강 2팀의
최유선 강훈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평일 오전에도 피서객들로 북적이는
완주 동상계곡.
SNS와 유튜브에서
한국의 블루라군 등 '핫플레이스'로
소개되며 피서객들이 몰린 겁니다.
하지만 이곳에서
계곡을 마음껏 즐기기는 어렵습니다.
식당과 펜션 등이 계곡 앞을 점령하고,
평상 대여비, 일종의 '입장료'를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직접 현장을 확인해 봤습니다.
계곡으로 내려가는 계단으로 다가가자
업체 주인이 먼저 막아섭니다.
[평상 대여업체 주인(음성 변조) :
(계곡 내려갈 수 있나요?)
어디요? 평상을 이용 하셔야죠.]
돈을 내는 게
이곳의 '규칙'이라고 말합니다.
[평상 대여업체 주인(음성 변조):
이런 데서는 저희가 관리도 하고 하니까
그렇게 안 받고는 좀 그래요. 우리 땅, 사유지는 아니지만. 그런 규칙이 좀 있어요.]
대여비를 요구하는 곳은
이곳뿐만이 아닙니다.
[식당 주인(음성 변조) :
(평상 안 빌리고 노는 건...)
없어요. 저희가 대여를 하는 거예요.]
하루 평상을 빌리는 데 5만 원 선,
결국 계곡 이용료나 다름 없습니다.
그렇다면 돈을 내지 않고
계곡에 들어갈 수는 없을까?
계곡을 따라 아무리 걸어도
자유롭게 내려갈 수 있는 길은
좀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옹벽은 높고, 발 디딜 곳도 없습니다.
[최유선 기자:
계곡으로 내려갈 수 있는 길을
찾아봤습니다. 대부분 펜션이나
식당 옆으로만 길이 나 있는데요.
반대편으로 가려고 해도
펜스로 막혀 있습니다.]
동상계곡은 지방하천인 '용연천'에 속해
하천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사유지가 일부 포함돼 있다 해도
맘대로 계곡 진입을 막아선 안됩니다.
[완주군 하천관리팀(음성 변조) :
하천에서 입장료 받는 것 자체는 문제, 불법은 맞습니다.]
[강훈 기자]
문제는 통행 제한 뿐만이 아닙니다.
취재진이 돌아본 계곡 곳곳에는
물막이가 설치돼 있습니다.
사업장 앞에 더 많은 물을 가둬
입장료를 낸 사람들만 이용할 수 있게
물의 흐름을 막은 겁니다.
[강훈 기자:
한 평상 대여업체 앞에 있는 계곡입니다.
이렇게 파이프와 펌프를 이용해 수심을
끌어올리고 있고, 비닐로 한쪽 벽면을
막아 물을 가둬놓고 있습니다.]
취재가 시작되자 해당 업체는
뒤늦게 물막이 공사를 해놓은 비닐을
철거했습니다.
[평상 대여업체 관계자(음성 변조):
(비닐을) 우리가 쌌어요. 왜 쌌냐면
이게 비가 와가지고 물이 넘어가지고
군청에 좀 해달라고 했는데...]
심지어 큰 바위로 벽을 쌓고
가운데에는 시멘트로 물막이를
해놓은 업체도 있습니다.
[CG] 하천관리법은 하천의 흐르는 물을 가두거나 흐름에 지장을 주는 행위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습니다.//
2년 전, 전남 장성 남창계곡의 한 업체가
예고도 없이 물막이판을 제거하면서
초등학생 2명이 급류에 휩쓸려
의식을 잃기도 했습니다.
안전 문제만 있는 건 아닙니다.
[문지현/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불법적으로 이제 평상을 만들거나 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음식물 쓰레기나 아니면 생활하수 같은 경우도 내려오기 때문에
이제 수질 문제 차원에서는 상당히
위험할 수 있겠다.]
온갖 불법 행위가 판을 치고 있지만
완주군은 단속에 손을 놓고 있습니다.
취재진이 완주 동상계곡 용연마을부터
검태교까지 3km가량 거슬러 올라가며
확인해보니 비닐이나 바위, 시멘트 등으로
계곡의 흐름을 막아놓은 업체는 10곳.
하지만 이번 여름 완주 동상 계곡에서
단속에 적발돼 원상복구 명령을 받은
업체는 한 곳뿐이었습니다.
[완주군 하천관리팀(음성 변조) :
평상하고 건축물, 불법 시설물 설치한 거에 대한 민원이 좀 주가 돼서요.
현재 민원은 그쪽이 이제 주를 이뤄서
그쪽만 지금 조치 중에 있습니다.]
해당 업체는 평상과 물막이뿐만 아니라
하천관리구역에 화장실과 샤워실까지
설치해 영업하는 상황.
불법 시설물을 철거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이 이뤄지지만
그마저도 여름 한 철 장사가 모두 끝난
9월로 예정돼 있습니다.
완주군은 하천감시원을 통해
불법 설치물을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지만,
언제, 얼마나 적발했는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여름철 계곡 물놀이는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자연의 혜택이자
시민들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하지만 솜방망이 단속이 계속되는 한
업주들의 잇속만 채우는 계곡 입장료는
내년 여름에도 반복될 수 밖에 없습니다.
JTV 기동취재 최강 2팀입니다.
최유선 강훈 기자
[email protected]
강훈 기자
[email protected] (JTV 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