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령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척추관협착증.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지며 통증과 보행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단순한 허리 통증과 혼동되기 쉬운 만큼,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건강365에서 알아봅니다.
<리포트>
걷다가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저려서 자주 쉬게 되시나요?
단순한 피로가 아닌, 척추관협착증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척추관이 좁아지며 신경을 압박하는 이 질환은
초기엔 허리 뻐근함으로 시작되지만 방치하면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김종열 좋은삼선병원 척추센터 센터장 /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전임의, 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
{Q. 척추관협착증은 어떤 질환이며, 초기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나요?}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으로 척추관이라 불리는 신경 통로가 좁아지면서 그 안을 지나는 신경이 압박을 받게 되는 질환입니다.
신경이 눌리게 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초기에는 허리나 엉덩이 부근에 통증이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는 느낌, 힘이 빠지는 증상으로 진행됩니다.}
================================
척추관협착증은 디스크와 혼동되기 쉬운 질환 중 하나인데요.
두 질환 모두 허리 통증을 유발하지만, 진단과 치료 방법은 크게 다릅니다.
그렇다면 정확한 진단은 어떻게 이뤄질까요?
================================
{Q. 척추관협착증은 어떤 검사로 확인하나요?}
{가장 핵심적인 검사는 MRI입니다. MRI검사를 통해 척추관 내부의 신경이 얼마나 압박을 받고 있는지
디스크나 인대 후관절 같은 연부 조직이 얼마나 두꺼워졌는지를 자세히 볼 수 있어 척추관협착증의 진단에 가장 유용한 검사로 여겨집니다.
기본적으로는 단순 엑스레이 검사도 함께 시행하는데 이는 척추뼈의 정렬 상태나 디스크 간격, 척추전방전위증 같은 뼈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척추관이 좁아지는 정도나 증상에 따라 치료 방향도 달라질 수 있는데요.
생활 습관 개선부터 시술, 수술까지 여러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환자에게 맞는 치료는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까요?
================================
(김종열 좋은삼선병원 척추센터 센터장)
{수Q. 척추관협착증은 어떻게 치료하며, 수술은 어떤 경우에 필요한가요?}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 치료 같은 보존 치료를 시행하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일정 기간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존 치료에도 불구하고, 다리 저림이나 근력 약화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
걸을수록 불편해지는 다리, 점점 짧아지는 활동 시간. 이런 변화가 느껴진다면 단순한 노화라고 넘기지 말고,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 보는 게 중요합니다.
조기 진단과 관리가 삶의 질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