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창사 30주년 기획> PK 30년 미래비전 키워드는? "통합과 포용"

기사입력
2025-05-16 오전 07:55
최종수정
2025-05-16 오전 08:05
조회수
2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한때 최대 770만에 달하던 부산경남 인구는 현재 600만명대, 30년 뒤엔 500만대로 떨어질 처지입니다. 우울한 전망치를 놓고 부산,경남은 어떤 미래를 그려나가야 할까요? 저희 KNN은 창사 30주년을 맞아 부산,경남 모두와 인연을 맺고 각 분야에서 활약을 하는 다양한 연령대의 지역민들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영화영상도시라는 글로벌 브랜드를 안겨준 부산국제영화제는 올해 30주년입니다. 서른살 동갑내기 지역 청년영화인이 꿈꾸는 지역의 미래는, 영화제의 도시를 뛰어 넘는 진정한 아시아 문화허브도시입니다. {정지혜/영화감독(이력자막 별도)/"이 도시가 어떤 문화적인 어떤 허브로서 다양한 문화의 영화들이나 문화들을 접할 수 있는 도시라고 생각해서 그게 좀 부산*경남의 어떤 강점이 되지 않을까?"} 역사적으로 봐도 부산,경남은 허브도시가 될 조건을 키워 왔습니다. 한국전쟁과 산업화를 겪으며 많은 이방인을 품었습니다. 이젠 그 개방성을 글로벌 도시 도약의 자양분으로 활용할 때입니다. {강동진/경성대 교수(이력자막 별도)/"매우 창의적인 발상을 할 수 있는 그런 혼종성이 갖고 있는 그런 뛰어난 속성이 바로 이 지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DNA가 있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방적이고 훨씬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또 힘도 있죠."} 하지만 개방성은 충분조건일뿐, 아직 남아 있는 우리 안의 보이지 않는 벽과 편견을 마저 무너뜨려야 합니다. {안드류 밀라드/국립창원대 교수(이력자막 별도)/"20년 동안 많이 좋아졌습니다. 부산 경남 같은 경우에는. 그래도 아직까지 좋은 일자리 있으면 무조건 한국 사람한테 주고 그러니까 단순한 일은 무조건 외국인한테 주고 약간 좀 차별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시*군 통합 30년이 된 김해를 주목합니다. 30년새 2배로 늘어난 김해의 주민등록인구는 2019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그런데 등록외국인수를 더한 총인구는 다시 증가세입니다. 외국인이 총인구의 5%를 넘는 다문화도시로 이미 진입했습니다. 다문화사회 정착 성패가 시정과제가 된 김해 사례는 부산,경남에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송기욱/김해연구원 연구기획실장/(이력자막 별도)/"어떻게 좀 (내국인과 외국인들) 조화를 시킬 수 있을까 하는 부분들에 대해서 시 정책적으로도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부산 울산 경남도 마찬가지로 그런 의미에서 보면 지역의 외국인들이 잘 어울려서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글로벌 도시를 생존전략으로 삼는다면 최소한의 경제규모는 필수조건! 소지역주의를 극복하고 어떤 형태로든지 부산-경남간 통합과 협력은 선결과제입니다. {전호환/동남권발전협의회 상임위원장(이력자막 별도)/"부산 경남이 먼저 통합을 지금 가고 있습니다만 울산까지도 끌어안아서 가야만이, 대한민국이 돌아가는 두 개의 축으로서 작동 해야만이 대한민국이 지속 가능한 국가가 되지 않겠나 그런 생각을 합니다."} "세계 각국의 수도와 제2도시에 대한 빅데이터 키워드 분석을 해봤습니다. 관문도시로서의 개방성과 연관된 항만, 위치, 금융, 항공 등의 단어가 눈에 띄군요, 지역간, 문화간 '통합과 포용'을 부산,경남의 30년 미래전략의 기조로 제안해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