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릴레이 면담을 진행한 서울 강남의 조선 팰리스 호텔은 30일 오전부터 국내 대·중견기업 총수들의 발걸음이 이어졌습니다.
이들은 미국 비중이 큰 에너지, 정보기술(IT), 방산, 바이오, 반도체, 철강 등의 사업에 주력하는 기업의 총수들로, 이날 트럼프 주니어를 직접 만나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릴레이 면담 현장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띈 경영인은 현재 3세 경영 승계가 이뤄지고 있는 재계 7위 한화그룹의 3형제였습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은 이날 오전 8시께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한화그룹 3형제는 면담 후 오전 8시45분께 호텔 이스트동에 있는 한 커피숍에서 커피를 포장하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이중 김동관 부회장은 트럼프 주니어 면담 후 오후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찾는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이 만나기 위해 현지로 이동했습니다.
한화그룹은 트럼프 가문이 속한 미국 공화당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7년 1월 열린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에는 3형제의 아버지인 김승연 회장이 국내 10대 그룹 총수로는 유일하게 초청받았고, 김동관 부회장은 올해 1월 열린 2기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김 부회장은 마크 루비오 국무부 장관,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 지명자,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등 트럼프 2기 각료 및 재계 인사들을 만나 네트워크를 다졌습니다.
또 IT, 부동산, 유통. 석유화학, 에너지,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총수들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났습니다.
이번 릴레이 면담은 주요 대기업은 개별 면담, 중견기업은 집단 면담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개별 면담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사이로, 관계자 외 접근이 차단된 호텔 내 별도의 보안 구역에서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먼저 최근 이사회로 복귀한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의장이 이날 오전 트럼프 주니어와 1시간 동안 회동하며 AI 등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GS에너지 허용수 사장, 부동산 개발회사 엠디엠그룹 문주현 회장도 개별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금융권 인사로는 KB 양종희 회장이 유일하게 트럼프 주니어를 만났습니다.
오후에는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과 이재현 CJ그룹 회장,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등이 면담 현장을 찾았습니다.
신 부사장은 한국경제인협회의 인도네시아 사절단에 아버지인 신동빈 회장과 함께 참여했습니다 이날 오전 귀국했고, 바로 조선 팰리스 호텔로 향해 트럼프 주니어와 면담했습니다.
롯데그룹은 미국에서 롯데케미칼이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 지역에 초대형 석유화학단지를 가동 중이고, 롯데바이오로직스가 2022년 미국 뉴욕주 시러큐스시에 위치한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BMS)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공장을 인수했습니다.
아울러 롯데웰푸드가 빼빼로 등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고, 롯데호텔도 롯데뉴욕팰리스, 롯데호텔 시애틀, 롯데호텔 괌, L7 시카고 바이 롯데 등 호텔을 운영 중입니다.
이밖에도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 구자은 LS 회장 등도 트럼프 주니어를 만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트럼프 주니어는 재계 총수들과의 면담 일정을 소화하고서 이날 밤늦게 출국할 예정입니다. 출국 시간은 면담 진행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