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산경남의 의대생들이 다른 지역 의대생들과 마찬가지로 복학 뒤 수업을 계속 거부하고 있습니다.
수업일수의 1/3 이상을 결석해 유급 처리 시한을 이미 넘긴 상태인데요,
대학들은 오는 30일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으면 유급 처분을 확정한다는 방침이어서, 집단 유급에 따른 의대 교육 파행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최혁규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지난달,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전 3058명으로 되돌렸지만, 부산 경남에서도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동아대의 경우 의대 재학생 가운데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5명 남짓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제대와 고신대, 경상국립대도 학년별로 소수에 그치고, 재학생이 9백여 명인 부산대도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학칙상 수업일수의 1/3 이상을 불출석할 경우 유급처리를 해야 하는데, 본과 4학년 기준 지역 5개 의과대학의 유급 시한은 지난 21일을 기점으로, 이미 지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금까지는 수업 복귀를 촉구하며 처분을 미뤘지만, 학사 일정을 고려해 오는 30일이 지나면 다른 의과대학들과 함께 유급을 확정한다는 방침입니다.
다음달까지 결석이 계속되면 집단 유급이 현실화 되는건데, 지난해 휴학한 24학번과 올해 25학번, 내년에 입학할 26학번까지 세 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는 초유의 트리플링이 우려됩니다.
동아대는 세 학번 가운데 26학번에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대학별로 대책을 강구하고는 있지만 교육 파행이 불가피합니다.
{지역 의대 관계자/"(정부에서는) 예산 통과 안돼가지고 건물도 못짓는다는데 진짜 난감한 상황...이제 의대 교수들은 학생들을 설득할 만한 어떤 동력이 없어요." }
정부는 의대생이 참여하는 의대교육 자문기구를 만들기로 하는 등 마지막까지 복귀를 호소할 방침입니다.
{이주호/교육부장관/"의학교육 발전을 위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기 위해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입니다."}
집단 유급이라는 극단적 상황을 앞두고 정부와 의료계 사이 접점이 마련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영상편집 박서아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