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땅꺼짐 12차례 사상*하단선 현장...사고막을 대책은?

기사입력
2025-04-10 오후 8:48
최종수정
2025-04-10 오후 8:48
조회수
14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최근 서울 도심한복판 지하철공사장 인근에서 대형땅꺼짐 현상이 발생했죠. 부산에서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에서만 땅꺼짐 현상이 12차례나 발생해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사상하단선 땅꺼짐 현상 원인으로 집중호우가 꼽히고 있는데, 곧 있을 우기에 제대로 된 대책은 마련돼 있을까요? 오늘 첫 소식, 최혁규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서울 강동구의 한 도로에서 갑자기 땅이 푹 꺼지면서 달리던 오토바이가 추락했습니다.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 30대 A씨는 수색 17시간 만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사고가 난 도로 아래에서 지하철 연장 공사가 한창이었는데, 지하철 굴착 공사가 땅꺼짐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부산에서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 주변에서 열두차례나 땅꺼짐이 발생했습니다. 사고 뒤 부산시는 침하여부를 미리 파악하기 위해, 계측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GPR 탐사장비 운영을 강화하겠다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지표투과레이더를 쏴 빈 공간을 찾아내는 GPR 탐사장비입니다. 문제는 이 장비로 2미터 이상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땅꺼짐을 찾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전문가들은 GPR 탐사는 땜질식 처방이라며 장마철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땅꺼짐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추가 대책마련을 강조했습니다. {정진교/부산과학기술대 첨단공학부 교수/"GPR탐사 같은 경우에는 단지 급할 때 참고로 할 뿐이지, 여러가지 종합검사를 통해 지하안전도 평가를 해야한다."} 오는 7월이면 우기가 다가오는 만큼, 조속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상황. 부산교통공사는 우기 전까지 지반침하를 불러올 가능성이 높은 땅파기 작업을 끝내고, 지반안전성 분석도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김이훈/부산교통공사 철도건설본부장/"모든 걸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만 촘촘한 그물망처럼 어떤 대책을 세움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지 않겠냐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국감에서도 GPR 탐사에 이상신호가 감지됐음에도 공사가 강행된 것이 땅꺼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만큼, 더 큰 사고를 막기 위해 계속된 감시와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영상편집 정은희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