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산림청이 수십년째 진행해온 각종 벌목 사업이 산불을 키웠다는 소식 여러 차례 전해드렸는데요,
하지만 산림청은 여전히 산불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임도가 필요하고 더 만들겠다는 생각입니다.
학계와 환경단체는 현실을 모르는 엉터리 대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인공위성으로 본 경남 산청 산불입니다.
무섭게 번지던 산불이 강줄기도 없는특정 지점에서 사그라졌습니다.
지리산국립공원입니다.
국립공원이라 임도를 만들지 못해 바람길이 생기지 않은 곳입니다.
여기에 숲가꾸기 사업도 없었던 곳이라 물을 머금은 활엽수가 방패 역할을 했습니다.
경북지역 산불도 마찬가지입니다.
경북 의성에서 동쪽으로 번지던 불이 주왕산국립공원은 비켜갔고 도로가 밀집된 영덕 북부에서 다시 강해졌습니다.
임도가 있는 곳과 없는 곳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난 겁니다.
하지만 산림청은 임도 부족으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임도를 더 만들고 낙엽이 쌓이지 않도록 활엽수를 제거해야 한다 말합니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는 물론 지역 주민들까지, 현실을 제대로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지적했습니다.
{정정환/지리산사람들 운영위원/"동네 사람들이 이런 말을 했어요. 도깨비 불 갔았다고. 밤에 불이 왔다갔다 하면서 도로를 건너다녔어요. 밑에 보시면 이건 서어나무(활엽수)입니다. 서어나무는 수관화(가지와 나뭇잎까지 타는 불)로 이어지지 않았어요 하지만 소나무는 수관화로 이어지면서 산불이 산을 넘어다니는...}
활엽수를 없앨 것이 아니라 더 심어야 한다며 정책 전환을 요구했습니다.
{민영권/산청함양난개발대책위/"산불이 발화한 지점을 보면 임도가 깔려있는 주변에 수천평의 두릅밭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초지라는 얘기입니다. 숲이 울창하면 산불이 그렇게 쉽게 번지질 않습니다.}
학계도 성명서 등을 통해 국내 2만5천여 킬로미터의 임도가, 효과는 커녕 산불만 키웠다고 지적했습니다.
공공일자리 창출 등의 목적으로 수십조의 예산을 쏟아가며 나무를 베고 길을 만든 산림 정책을 이제는 멈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