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기술창업은 지역경제의 혁신 동력이지만 그간 지원체계가 분산돼 있었습니다.
스타트업 보육부터 투자기능까지 맡는 창업생태계 허브가 되는 공공기관이 부산에 처음 설립됐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폐전선에서 나오는 구리를 소재로 만든 투명안테나입니다.
고속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자율주행차나 사물인터넷 등에 폭넓게 활용가능 합니다.
창업 3년차 지역의 한 기술 스타트업이 개발해 CES 2025 혁신상까지 받았습니다.
하지만 여태까진 창업지원 창구도 제각각이었던데다 투자유치도 수도권을 바라봐야 했습니다.
{정승/기술 스타트업 '씨아이티' 대표/"부산 기업으로서 투자 유치를 했지만 결국에는 수도권에 가서 저희가 돈을 받아서 부산에 내려오는 게 힘들었었고요."}
올해부턴 달라집니다.
부산기술창업투자원이 세워져 운영에 들어간 덕분입니다.
부산테크노파크와 부산경제진흥원 등이 맡고 있던 창업보육 기능과 조직을 통합했습니다.
여기에다 직,간접적인 투자 기능까지 더해졌습니다.
{서종군/부산기술창업투자원 원장/"처음에는 (벤처투자) 펀드를 만들어서 그 펀드가 AC나 VC가 만드는 펀드에 출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겁니다. 향후에는 직접 투자까지 진행할 예정입니다."}
창업보육부터 투자기능까지 맡는 창업전담 공공기관이 지자체 차원에서 만들어진 건 전국 처음입니다
지난해부터 대규모로 만들어지고 있는 지역특화형 벤처펀드가 지역 창업생태계로 온전히 퍼져나가게할 창구가 생긴 겁니다.
{박형준/부산시장/"부산을 아시아 창업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 하에 3년 전부터 이 창업투자원을 만들기 위해서 저희가 노력을 했고 그 꿈을 저희가 실현하게 됐습니다."}
다만 공공기관 급여체계의 한계 탓에 실제 투자업무를 맡을 전문 투자심사역 충원에 애로를 겪고 있는 점은 시급히 극복해야할 부분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