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한 법 개정에 여야 의원들이 한 목소리를 내면서 부산의 도시공원 지정 가능성도 한층 더 높아졌습니다.
경남에서 산불로 인한 피해가 컸던 가운데, 피해 지역 의원들도 계속 현장을 지키며 분주했습니다.
한 주 동안 있었던 정가 소식을 길재섭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국가도시공원은 2016년 3월 공원녹지법 개정으로 법적 근거가 마련됐지만 지정된 사례는 없었습니다.
300만 제곱미터 이상의 공원 부지 전체를 지자체가 소유해야 한다는 규정 때문입니다.
이때문에 부산과 인천 등 국가도시공원을 추진하는 지역 의원들은 법 개정을 꾸준히 추진해 왔습니다.
부산의 이성권 의원은 본인의 상임위가 아닌 국회 국토위에 직접 출석해 개정안을 설명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국가도시공원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300만 제곱미터 기준 완화와 국유지 포함 가능, 국무회의 심의 삭제 등입니다.
관련 개정안은 최근 긴박한 정치 일정 탓에 심사가 미뤄져 왔습니다.
하지만 부산을 중심으로 인천과 광주, 대구 등이 함께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한 포럼을 여는 등, 법안 통과는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국토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여야 없이 한 목소리를 내는 것도 올해 상반기 법안 통과 전망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성권/국민의힘 의원/이번 상반기 안에 통과가 되면 반드시 올해 안에는 4개 도시가 같이 공동으로, 서로가 앞서가려고 하지 말고 함께 1호로 지정이 됐으면 하는 바램을 말씀 드립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장 역시 같은 의견입니다.
{맹성규/국회 국토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국토위원님들이 조만간 신속한 심의를 통해 법 개정안을 통과해 주실 것이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서 함께 계신 모든 분들이 염원하는 국가도시공원을 만들었으면 합니다.}
부산은 낙동강 하구에 사유지 237만㎡를 포함한 전체 558만㎡ 규모의 국가도시공원을 추진중입니다.
전국적으로 가장 큰 규모의 후보지입니다.
특히 시민운동으로 추진된 100만평 문화공원 조성 운동 역시 부산의 국가도시공원 지정에 대한 기대를 키우고 있습니다.
{김승환/100만평문화공원조성범시민협의회 공동운영위원장/시민들의 삶의 질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지구환경 위기 극복이라든가 그리고 균형발전, 여러가지 문제 그리고 경제활성화, 일자리 창출, 공해 문제가 해결이 될 수 있을거 같아서 앞으로 많은 국민들이 다같이 참여를 해서 국가도시공원 만들기에 참여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경남에서는 전국을 휩쓴 산불로 큰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피해 지역의 국회의원들도 분주했습니다.
산청과 하동에서는 각각 1천 150, 700 헥타르 규모 면적이 피해를 입었고 약 1천 300여 세대, 2천 100여명이 대피했습니다.
산청군의 신성범 의원과 하동군의 서천호 의원은 산불이 타들어가는 동안 지역에 계속 머물렀습니다.
두 의원은 산불 피해 현장을 찾아다니며 망연자실한 피해 주민들을 위로하고 소방 공무원들을 격려했습니다.
실시간으로 SNS를 통해 현장 상황을 전달하기도 한 의원들은 산불 피해에 대한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추경 예산 편성 등 국회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또 국민의힘 박상웅 의원은 산불 발생시 통합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산불 진화 중 발생하는 인명피해에 대한 보상을 가능하도록 하는 산림재난방지법 일부개정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습니다.
지금까지 정가소식이었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