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하반신 마비 환자들의
보행을 도울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들이
전 세계에서
활발히 개발 중인데요,
국내 연구진들이
휴머노이드 로봇처럼
스스로 다가와
저절로 입을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김철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사람을 향해 두 다리로
천천히 걸어오는 로봇,
이윽고 휠체어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안기듯
한 몸이 됩니다.
8년 전 사고로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이 된
김승환 연구원이
로봇과 함께 휠체어에서 일어나
목발을 벗어 던지고
뚜벅뚜벅 발걸음을 옮깁니다.
마치 휴머노이드 로봇처럼
스스로 다가와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할 수 있는
세계 최초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 F1입니다.
▶ 인터뷰 : 박정수 / 카이스트 박사과정 연구원
- "저희가 개발한 기술은 로봇이 착용자에게 스스로 걸어가는 기술과 그리고 착용자 근처로 왔을 때 자동으로 착용자와 연결되는 메커니즘 이런 것들을 개발했습니다. "
로봇을 입고 난 뒤엔
움직임의 제약이 사라집니다.
비장애인의 걸음 속도 수준으로
시속 3.2km까지 걸을 수 있고,
좁은 통로와 문, 계단 등도
통과할 수 있습니다.
연구진이 개발한 알고리즘과
바닥의 센서 등을 통한 균형 제어로
목발 없이도 서거나 움직일 수 있어
착용자에게 자유로움을 선사합니다.
▶ 인터뷰 : 김승환 / 카이스트 연구원 (완전마비 장애인)
- "몸에 오는 진동을 통해서 앞으로 나아간다는 걸 느끼는 게 이제 가장 크고요. 잊고 있었던 걸음이 다시 생각나게 돼서 되게 감격이 큽니다."
연구진은 워크온슈트 F1으로
오는 일요일 스위스에서
4년마다 열리는
장애 극복 사이보그 올림픽,
사이배슬론 대회에 참가할 예정입니다.
앞서 지난 2회 대회에서도
압도적인 성능으로 우승했던 만큼
이번 대회에선 전면 착용 기술을 비롯한
기술적 격차를 보여줄 전망입니다.
TJB 김철진입니다.
(영상취재: 성낙중 기자)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