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남 합천군에서 한반도 최초로 운석충돌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지름만 7km에 달하는 곳인데요,
5만 년 전 운석 충돌로 만들어진 거대한 분지에는 지금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합천군 적중면과 초계면이 접한 평야지대입니다.
들판을 중심으로 산이 빙 둘러 싼 독특한 그릇 모양입니다.
가로는 7km에 달하는 이곳이 운석 충돌 생긴 지형임이 밝혀졌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팀은 이곳에서 한반도 최초로 운석 충돌의 흔적을 찾았습니다.
땅 속 140m 퇴적층에서 운석이 충돌할 때만 생기는 충격파를 발견한 것입니다.
{임재수/국토지질연구본부 박사/"운석이 충돌할 때 강력한 충격파가 발생하는데요,
현미경화해서 발견할 수 있는 석영의 평면변형구조가 나타났습니다."}
탄소연대 측정 결과 그 시기는 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곳 산 정상에선 분지 지형이 확연히 드러납니다. 5만 년 전 운석이 떨어지면서 웅덩이가
생겼고 시간이 지나면서 퇴적이 되다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입니다.
직경 4km의 분지가 형성될 정도의 충격을 계산하자 직경 2백미터 가량의 운석이
충격을 가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때 생기는 에너지는 대형 화산 폭발에 맞먹습니다.
국내에선 최초 발견이며 동아시아권에선 중국 다음으로 두 번 째 성과입니다.
오만 년 전 충돌한 운석구를 통해 한반도가 간직한 비밀이 하나씩 풀릴 것으로 보입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