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석유나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바탕으로 돌아가던 시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고갈되지 않는데다 환경에
어떠한 피해도 주지않는 궁극의 에너지,수소 경제시대가 빠르게
열리고 있습니다.
ubc울산방송은 수소경제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과제를
돌아보는 연속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경제적 의미의 수소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먼저
알아봤습니다.
김진구기잡니다.
(레포트)
원자 번호 1번, 우주 질량의
75%를 차지하는 수소.
하지만 자연 상태의 이 수소는
어떠한 에너지로도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인터뷰)우항수 울산테크노파크
에너지기술지원단장(공학박사)
우주에 있는 수소를 모아서 쓸려
면 굉장한 에너지, 고진공을 걸어서 그 수소를 빨아들여야 되거든요. 그럴려면 지구로 이송하는
비용이 더 많이 듭니다
(시지)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수소는 석유화학 공정과정에서 나오는 부생수소와
천연가스에 뽑아내는 추출수소,
그리고 물을 분해해서 나오는
수전해수소가 있습니다.
부생수소와 추출수소는
생산단가는 싸지만 제조과정에서
탄소를 발생시켜 환경에 피해를
주는 반면 수전해수소는 탄소
배출은 없지만 제조비용이 훨씬
비싼 단점이 있습니다. (아웃)
세계는 탄소중립 기준을
충족하기위해 수전해수소, 즉
그린수소를 더 값싸게 대량으로 만들어내기위한 기술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인터뷰)차준기 SDG대표
수전해 수소는 산업하고 연관성이 있어야 빨리 발전을 하는데
산업연관성이 미미하고 생산량도 아직은 적게 나옵니다.나중엔 어차피 수소는 그 쪽(수전해수소)
으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시지2) 정부는 2040년까지 수소
생산량을 10배 이상 늘리고
가격은 절반 이하로 낮춰
본격적인 수소경제시대를
열겠다는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1/4 시지)
이를 위해서는 수전해를 통한
수소의 대량생산 기술개발과
경제성 확보가 관건입니다.
(인터뷰)조승환 울산테크노파크
책임연구원
그린수소를 대규모로 더 싸게
만들수 있는 설비를 개발하고 집중적으로 상용화시킬수 있는 투자가 필요합니다
더 값싼 수소 개발과 함께
대량 소비처가 함께 나타나야
수소경제 시대의 지속가능한
생태계가 구축될 전망입니다.
유비시 뉴스 김진굽니다.
-2021/03/29 김진구 작성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