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건강365]-이명(11/19) 2'49"--1/1 모닝 재방

기사입력
2021-01-01 오전 08:34
최종수정
2021-01-01 오전 08:34
조회수
136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수퍼:상단: '이명' 치료 }

{수퍼:하단: '삐' 이명, 난청에 불안장애까지 }

{앵커: 올 한 해도 시청자 여러분의 건강을 기원하는 건강365입니다.
새해 첫날, 귀 건강부터 챙겨보시죠.
귀안에서 이상한 소음이 들린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심해지면 난청이나
불안장애로 이어지기도 하는데요.
'이명'에 대한 궁금증, 지금부터
풀어드립니다. }

{리포트}

{수퍼: 귀안에서 [벌레 우는] 소리*[기계 소음]이 들린다? }

갑자기 '삐' 하는 소리가 들린 적 있으시죠?

귀안이나 머릿속에서 난다고 느끼는데요.

이명 증상 가운데 하나입니다.
================================
{CG:}

중년 환자가 많은데, 25%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가볍게 넘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일상이 무너질 정도로 고통 받는 환자도 많습니다.
================================
{인터뷰:의사 프로필 왼쪽에 해 주세요 }

(인터넷 기사용 약력: 이환호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 과장*의학박사, 미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연구교수 )

{수퍼: 이환호 / 이비인후과 전문의 }

{수퍼: [이명]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소리가 아니고 외부에서는 아무런 소리가 안 들어오지만 내 [귀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내가 느끼게 되거든요.

그런데 상상해 보시면 내부에서 [소리가 계속] 난다면 그것 때문에 계속 거기에 [신경을] 쓰게 됩니다.

그러면 거기에 대해서 다른 일을 할 때,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고 그 소리에 [과민해져서] [불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고 또 계속 소리가 나기 때문에 [수면을 못한다든가] [우울증]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
================================
{수퍼: [원인 다양한] 이명, [난청] 동반되기도 }

증상을 갑자기 느끼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서서히 진행됩니다.

원인도 아주 다양한데요.

이명 환자는 난청까지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수퍼: [난청]과 같이 동반된 [이명]들이 많기 때문에 [청력검사]를 해서 이명의 [원인]이 어딘지 찾아볼 수 있고요.

또 이명 자체에 대해서 [이명도 검사]를 해서 이명 [소리의 크기]라든지 [형태]를 파악합니다.

그런데 이명은 상당히 [원인]을 찾기가 [어렵거든요.]

한편 이명이 생길 수 있는 여러 [청각 경로], 뇌를 포함한 청각 경로에서 원인을 찾기 위해서 [뇌 자기공명영상](MRI) [뇌 CT, 측두골 CT] 같은 걸 찍어서 [이명의 원인]을 찾기도 합니다. }
================================
{수퍼: [두통] 부르는 [이명], 일찍 치료해야 [합병증] 낮아 }

이명은 100% 완치가 힘듭니다.

그렇다고 내버려두면 난청과 두통까지 부릅니다.

일찍 진단 받고 치료해야 합병증 위험이 낮아집니다.
================================
{인터뷰:의사 프로필 왼쪽에 해 주세요 }

(인터넷 기사용 약력: 이환호 /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

{수퍼: 이환호 / 이비인후과 전문의 }

{수퍼: [신경 전달]이 너무 [과도하기] 때문에 [억제]시키는 약간의 [항불안, 항우울제] 같은 약물이 들어가서 [이명을 조절]할 수 있고요.

과도한 [이명을 억제]시키기 위해서 도리어 [난청]이 동반된 경우는 외부에서 [보청기]를 착용해서 [소리를 넣어주면] 이명을 느끼는 것들을 적게 느낄 수 있고요.

또 한편 일부러 [외부에서] 약간의 소음을 넣어주면 그 [소음에] 이명이 [묻혀서] 본인 스스로는 이명을 잘 못 느끼게 하는, [소음 발생기]를 사용해서 이명을 치료하고 또는 이명에 대해서 계속적으로 뭔가 [불편하지 않은] 소리라는 것을 강조시키는 [이명재훈련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
{수퍼: 이해리 (중간) }

많은 이명 환자들이 우울과 불안장애를 갖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수면의 질을 높이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