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이미지 1
【 앵커멘트 】
지난해 6월부터
코레일이나 수자원공사처럼
과거 대전으로 옮겨왔던
17개 공공기관도
지역인재 의무채용에 포함됐죠.
지난해 과연 얼마나 뽑았나
살펴 봤더니,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대전지역 공공기관의
충청권 지역인재 채용은
33.8% 로 지난해 목표치 18%를
훌쩍 넘겼습니다.
조혜원 기잡니다.
【 기자 】
코레일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477명의 신규직원을 채용했습니다.
이 가운데 43.6%인 208명은 대전 세종 충남북에서 고등학교나 대학을 나온 청년들이었습니다.
2019년엔 전체의 20% 가량만 지역 인재들이
입사했는데 채용 비율이 두 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 인터뷰 : 민기영 / 코레일 채용담당 차장
- "철도공사 같은 경우는 전국 사업장을 둔 공공기관으로 각 지역본부에 해당하는 인재들은 해당 지역에서 채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 원자력연구원은 16명 중 8명을
충청권 지역인재로 채용해 50%의 채용비율을
보였습니다.
지난해 6월부터 박병석 국회의장이 발의한
혁신도시특별법 개정안 시행으로 과거 대전으로
이전했던 공공기관 17곳이 의무채용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국토교통부 조사결과 특허정보원은 전체의 43.5%, 수자원공사 32.9%, 국방과학연구소 29.4% 등으로 대전에 있는 공공기관의 충청권
지역인재 채용 인원은 모두 319명이었고,
평균 33.8%에 이릅니다.
시행 첫 해 채용 목표는 18%였는데 6개월 만에 목표치를 이미 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선 지역인재 의무채용이 교육과 취업 등 효과가 큰 만큼 50%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충청권 등 해당 권역 30%에다 타 지역 졸업자 20%를 더해 지역인재 채용을 더 늘려야한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이낙연 (1월 지역민방 특별대담) / 민주당 대표
- "그 지방에 있는 대학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 대학, 다른 지역의 지방 대학 출신도 얹어서 30+20 정도로 해서 지방 대학 전체를 도와드리는 방법은 없겠는가…."
국회엔 이미 관련 법도 발의된 상황에서 지역 청년들의 취업문이 활짝 더 열릴 지 주목됩니다.
TJB 조혜원입니다.
(영상취재 이은석 기자)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