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금융 생태계의 한 축이 될
국제금융센터 건립 사업이
좀처럼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규모가 대폭 축소될 상황인데
전북자치도는 사업자로부터 입주업체를
확보해달라는 요청까지 받았는데요.
그만큼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건데,
제3금융 중심지 지정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변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2년 전, 민간 투자 방식으로
35층 규모로 계획됐던 전북국제금융센터.
하지만 아직까지 첫삽도 뜨지 못했고,
20층 규모로 축소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입주 기업을 확보하지 못해
자금 조달에 차질을 빚고 있는 건데,
규모를 더 줄이는 방안까지 검토되고
있습니다.
[변한영 기자 :
결국, 민간 투자사는 전북자치도에
입주 보증까지 서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다시 말해, 센터에 들어설 업체를
자치단체가 모집해달라는 것입니다.]
전북자치도는 민간 사업에 개입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며 제안을 거절했지만
불확실한 사업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착공 시점은
지난해 11월에서 올해 6월로 미뤄졌고,
이제는 기약조차 할 수 없게 됐습니다.
무려 1천2백조 원을 굴리는
세계 3대 기금인 국민연금에
전주에 둥지를 튼 연금공단의
자산운용사도 15곳으로 늘었지만
센터 건립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입니다.
[신미애 / 전북도 금융사회적경제과장 :
여러 가지 경기가 좋지 않다 보니까
그 규모만큼의 입지 수요가 있진 않아서
약간은 지연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북자치도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제3금융 중심지 지정이 확정되면
사업에 탄력을 받게 될 거라는 입장.
하지만 사업성은 뒷받침되지 않고
건설업 불황까지 겹쳐 표류하면서
국제금융센터가 오히려 금융중심지 지정의
발목을 잡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JTV NEWS 변한영입니다.
변한영 기자
[email protected](JTV 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