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협상 타결,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영향으로 기업 체감경기가 석 달 만에 개선됐습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8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1.0포인트(p) 상승한 91.0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산업 CBSI는 6월과 7월 두 달 연속 하락하다가 석 달 만에 반등했습니다.
8월 CBSI는 지난해 11월(91.8)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였으나, 여전히 장기평균 수준을 밑돌아 '비관적'으로 평가됐습니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주요 지수(제조업 5개·비제조업 4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심리 지표입니다.
장기(2003∼2024년) 평균인 100을 웃돌면 경제 전반 기업 심리가 낙관적, 반대로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입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관세 협상 타결로 통상 관련 불확실성이 낮아진 가운데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세를 나타냈다"며 "비제조업도 휴가철,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영향으로 개선됐다"고 말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CBSI(93.3)는 제품재고(+0.6p), 업황(+0.4p) 등을 중심으로 7월보다 1.4p 상승했습니다.
비제조업 CBSI(89.4) 역시 업황(+0.4p)과 매출(+0.3p)이 개선되면서 0.7p 올랐습니다. 지난해 11월(92.5)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9월 CBSI 전망치는 전산업(91.8), 제조업(92.1), 비제조업(91.5) 모두 이달 전망치보다 각각 3.4p, 1.1p, 4.7p 상승했습니다.
전산업과 비제조업의 경우 이달 상승 폭이 지난 2021년 5월(+5.9p, +5.1p) 이후 가장 컸습니다.
세부 업종의 기업경기실사지수 흐름을 보면, 제조업 중에서는 자동차, 기타 기계·장비, 전기장비 등 업종의 실적이 좋았습니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공의 복귀 등으로 유통업체와 의약품 업체 업황이 개선되면서 도소매업이 호조를 나타냈습니다.
또한 휴가철 여행객 증가로 운수창고업도 업황이 개선됐습니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까지 반영한 8월 경제심리지수(ESI)는 94.6으로, 전월보다 1.7p 상승했습니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92.4)는 0.8p 올랐습니다.
이번 조사는 이달 11∼19일 전국 3천524개 업체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이 중 3천300개 기업(제조업 1천843개·비제조업 1천457개)이 답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