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jtv

'조롱거리'된 동학 수당..."항일 운동 인정해야"

기사입력
2025-08-15 오후 9:30
최종수정
2025-08-15 오후 9:30
조회수
10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유족들에게
수당을 지급하는 방안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겁습니다.

이럴거면 임진왜란 유족까지 찾아서
지원하라는 조롱 섞인 지적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광복 80주년인 오늘,
동학농민혁명의 독립운동사적 가치를
강훈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유족들에게
전북자치도가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고
규정한 조례.

누구에게 얼마나 줄 건지,
지원 규모도 정해지지 않았지만
논란은 전국으로 확산됐습니다.

[화면출처: 유튜브 '류병수의 강펀치'
정부 수립 이전으로 조선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럼 이제 삼국시대, 고려시대 뭐 이렇게 올라가는거에 대해서는 그거는 어떻게 자를건가요?]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사라지고,
조롱과 폄훼만 남았습니다.

하지만 항일 독립운동과
민주항쟁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물줄기를 바꿔온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예우가
이렇게까지 지탄받을 일인지에 대해선
한번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STUDIO IN)
국가보훈부의 독립유공자
대상요건입니다.

1895년 전후 독립운동의 공로를
인정받은 분들을 유공자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모니터 화면 전환 --

동학농민혁명이 발생한 건
바로 전 해인 1894년.

3월 1차 봉기 이후,
6월에는 일본군이 조선 경복궁을 침입했고,
7월에는 한반도에서 청일전쟁이 발발해
일본의 조선 침탈이 본격 시작된 해입니다.

두 달 뒤에는
동학농민군의 2차 봉기가 일어났지만,
그 해 12월, 농민군은 일본과 연합한
관군에 의해 공주 우금치에서 패합니다.
(STUDIO OUT)

당시 2차 봉기의 성격은
전봉준의 신문기록에도 드러납니다.

(CG IN)
심문관이 봉기를 일으킨 이유를 묻자
전봉준은 일본이 왕궁을 습격해
나라를 위하는 마음으로 의병을 규합해
대항했다고 답했습니다.
(CG OUT)

[이병규/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부장:
2차 분기에 참여했던 분들이 이후에
3.1 운동에도 직간접으로 또 연결이 되는데 민족대표 33인 중에 9명 정도가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던 분들이에요.]

일제에 항거한 봉기였지만,
보훈부는 여전히 1962년 문교부 공적심사 위원회에서 지정한 독립유공자 서훈 기준을
60년 넘게 고수하고 있습니다.

국회입법조사처도 항일 운동의 관점에서
봐야한다는 의견을 내놨지만,
전봉준이나 김개남 같은 농민군 지도자마저
서훈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마련된 게
동학농민명예회복법과 조례입니다.

[염영선/전북자치도의원:
늦었지만 이렇게 유족 수당을 이렇게
제공하는 것이 실질적인 그분들의
명예 회복이고, 동학 농민 혁명 정신을
다시 계승하는 그런 계기가 돼서...]

수당 지급 여부를 둘러싼
소모적인 논쟁 대신,
그동안 반란으로 치부됐던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가치를
이번 기회에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JTV NEWS 강훈입니다.

강훈 기자 [email protected] (JTV 전주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