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독성과학연구소 김기석 본부장 연구팀이 뇌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조현병 치료제 '할로페리돌'이 뇌 발달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인간 줄기세포에서 만든 뇌 오가노이드 모델로 약물이 뇌 발달 단계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향정신병 약물인 할로페리돌이 'Notch1' 신호를 억제해 신경 발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십 일간 뇌 오가노이드에 할로페리돌을 노출하는 실험에서는 뇌 오가노이드의 크기 감소와 신경 구조 이상, 발달 저해가 확인됐습니다.
특히 Notch1 신호 감소로 신경줄기세포 성장이 방해받는 양상이 뚜렷했습니다.
반면 신경보호제 '프로피온산'과 Notch1 활성제 '발프로산'을 함께 투여하자 크기가 유의미하게 회복돼 부작용 회복 가능성도 제시됐습니다.
이번 연구는 인간 뇌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항정신병 약물의 발달 독성을 입증한 첫 사례로, 기존 동물실험의 한계를 넘은 중요한 성과입니다.
김기석 본부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항정신병 약물뿐 아니라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 다양한 중추신경계 약물의 조기 독성 검출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향후 약물 안전성 가이드라인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7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