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이화여대 류인균 석좌교수 연구팀이 PTSD, 즉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공포 기억이 지속되는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표적을 제시했습니다.
핵심은 뇌 속 비신경세포인 별세포가 생성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가바(GABA)였습니다.
PTSD는 소방관, 참전 군인처럼 재난이나 폭력 등 극심한 외상을 겪은 사람들이 공포 기억을 떨치지 못하고 고통을 겪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공포 기억은 시간이 지나면 희미해지지만, PTSD 환자에게는 통하지 않습니다.
현재 치료제는 세로토닌을 조절하는 항우울제가 주로 사용되지만, 효과는 20~30%에 불과하고 반응 속도도 느립니다.
연구진은 380여 명의 대규모 뇌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PTSD 환자의 전전두엽에서 가바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고, 동시에 뇌혈류량이 감소돼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특히 PTSD 증상이 회복된 환자에서는 이 수치들이 정상화된 것도 확인됐습니다.
연구진은 별세포에서 마오비(MAO-B)라는 효소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면서 가바가 과도하게 생성·축적된다는 점을 PTSD 환자의 뇌 조직 분석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별세포가 병리 자극을 받으면 수와 크기가 증가하는 반응성 별세포로 변하는데, 이 과정에서 가바 분해 효소가 감소해 균형이 무너지는 겁니다.
동물실험에서도 별세포의 마오비 활성을 증가시킨 PTSD 모델은 공포 반응이 오래 지속되고 회복이 지연됐지만, 마오비 활성을 억제하자 공포 기억이 완화됐습니다.
나아가 연구진은 별세포의 마오비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신약 후보물질 'KDS2010'을 투여해, 가바 농도와 뇌혈류량이 정상화되고 불안 반응도 줄어드는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KDS2010은 현재 임상 2상 시험이 진행 중입니다.
이번 연구는 임상 뇌영상 분석에서 출발해 병리기전을 확인하고 신약 효능 검증까지 이어진 대표적인 역중개 연구 사례로, PTSD의 근본적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포트폴리오의 생화학 분야 최고 권위지 '신호 전달 및 표적 치료(Signal Transduction and Targeted Therapy)' 7월 2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