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헌재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60일 동안의 조기대선 국면이 시작됐습니다.
지역 현안들을 신속히 각 당의 대선공약에 담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은 벌여놓은 것은 많은데 진척을 보이지않는 지역현안이 많습니다.
여소야대 국면 속 여당 지자체장의 공약은 탄력을 받지 못했고, 엑스포 유치 실패와 계엄국면 등, 외부요인으로 동력을 잃기도 했습니다.
박형준 시정의 핵심공약인 산업은행 이전과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을 국민의힘이 그대로 대선 공약으로 채택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지지부진한 과정에 피로감이 있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새로운 카드를 꺼내 들지 관건입니다.
민주당은 북극항로를 지역공약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지역현안에 늘상 발목을 잡아 왔던 것에 대한 지역의 시선이 곱지 않습니다.
이를 모를 리가 없기 때문에, 전향적으로 이재명표 균형발전 공약을 내놓을 가능성에 무게가 쏠립니다.
“부산의 제2도시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 만큼 해양 금융 발전 등 지역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지역 현안 공약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합니다.”
해양금융 생태계 구축도 과제로 꼽힙니다.
{차재권/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당연히 해양과 금융이 함께 갈 수밖에 없는, 그래서 해양과 금융을 조금 복합적으로 섞는 방식으로 아마 대선에서 정책 경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봅니다."}
가덕신공항의 안정적 개항은 모든 당의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2029년 조기개항에 대한 제대로 된 로드맵이 없어 의심의 눈초리가 많습니다
실제 2029년 개항이 가능한지 재점검해 지역민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경남은 우주항공청에 대한 안정적 뒷받침, 원전산업에 대한 흔들림 없는 지원, 중소조선 살길 방안 마련 등을 각 당에 요구해야 할 상황입니다.
PK로서는 조기대선을 통해 어느 당이 진정성 있는 균형발전 의지를 갖췄는지 냉철히 따져봐야 할 국면입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편집 박서아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