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신항을 둘러싼 지역간 갈등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도당 위원장인
이원택 의원까지 김제 논리를 앞세워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은 별도 항만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북자치도가 이 문제에
중립을 지키지 않았다는 건데
지역간 갈등이 정치권의 대립으로
확산하면서, 새만금 앞날에 더욱 짙은
먹구름이 끼고 있습니다.
정원익 기자입니다.
군산, 김제, 부안이 추진해온
새만금 특별자치단체는 김제시가 막판에
불참을 선언하면서 무산됐습니다.
김제시와 군산시가
신항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는 마당에
전북자치도가 해수부에 자문단의 의견을
내는 건 중립성 훼손이라는 겁니다.
김제, 부안이 지역구인 이원택 의원도
전북자치도의 개입 정황을 확인했다며
같은 입장을 반복했습니다.
[이원택/더불어민주당 전북자치도당위원장 : 최소한 중립적인 위치라도 있어야 됩니다. 그런데 중립적 위치도 아니고 그걸 하지 말자고 그래요. 전북 역사 발전에 아주
퇴행적인 오점을 남겼다고 봅니다.]
이원택 의원은 또
해수부, 기재부와 싸워서
15번째 국가 무역항으로 지정받는 게
목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군산항 이외에 별도의 무역항이 있는 게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논리입니다.
군산과 김제가
사실상 신항 관할권을 두고 맞선 가운데
이번엔 전북 정치권의 핵심 인사인
민주당 도당위원장이 도지사의 행정행위를
공격하는 상황이 빚어진 겁니다.
이 때문에 신항은 물론
새만금사업의 실타래가 더욱 꼬일 것으로 보입니다.
이 위원장은 전북 최대 현안인
대도시권 광역 교통망 특별법안은
이번 주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덕수 권한 대행이 거부권을 행사할 수도 있지만, 공포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점쳤습니다.
[이원택/더불어민주당 전북자치도당위원장 : 새만금 특별법도 산통을 겪었지만 공포를 했습니다. 대광법도 산통을 겪었지만 저는 공포할 가능성을 조금 더 높게 봅니다.]
전주시의회와 군산시의회 등
지방의원들이 잇따라 물의를 빚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대통령 파면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윤리감찰 활동이
더뎌지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사안마다 조사 시기가 다르겠지만
원칙적으로 대응하겠다며 지켜봐달라고
당부했습니다.
JTV뉴스 정원익입니다. (JTV 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